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로 지난달 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폭은 전월보다 1조원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시중은행 대출 창구./사진=장동규 기자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로 지난달 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폭은 전월보다 1조원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계대출이 막힌 은행들이 기업대출을 늘리면서 기업대출이 역대 최고치로 뛰었다.
10일 한국은행의 '2021년 10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 10월말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1057조9000억원으로 전월보다 5조2000억원 늘었다. 지난 9월 6조4000억원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증가폭이 1조2000억원 축소됐다.

은행 가계대출은 주택담보대출(주담대)과 기타대출로 구성된다. 이중 주담대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774조5000억원으로 전월대비 4조7000억원 늘었다. 10월 늘어난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이 대부분을 차지한 것이다. 주담대 중 전세자금대출 증가액은 2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그동안 주담대 증가액은 5조~6조원대를 지속했다. 주담대 증가액은 지난 6월에는 5조1000억원 ▲7월 6조원 ▲8월 5조8000억원 ▲9월 5조6000억원을 기록한 바 있다.

한은 관계자는 "주택매매와 전세 관련 자금 수요가 지속됐으나 집단대출 취급이 줄면서 전월보다 증가규모가 축소됐다"며 "기타대출의 경우 은행권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 조치, 대출금리 인상 등으로 전월에 이어 소폭 증가에 그쳤다"고 말했다.

신용대출과 마이너스통장 등 기타대출 증가세는 주춤했다. 기타대출은 10월말 282조4000억원으로 5000억원 늘어나는데 그쳤다. 은행권이 가계대출 증가세를 억누르기 위해 대출 한도를 연소득 이내로 제한하고 심사도 강화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기업대출 10.3조 급증한 이유는
기업대출은 10조3000억원 증가한 1059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10월 증가액 기준으로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4년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이는 고강도 가계대출 규제로 은행들이 기업대출을 적극 유치한 결과다.


기업대출의 급증세를 견인한 것은 중소기업이었다. 중소기업대출은 8조원 늘어난 881조원으로 집계됐다. 자영업자가 주로 빌리는 개인사업자대출은 전월보다 2조6000억원 늘어난 419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대기업 대출은 2조3000억원 늘어난 178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날 금융당국은 은행권과 제2금융권을 합한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 동향을 발표하기도 했다. 지난 10월 전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대비 6조1000억원 증가했다. 이는 전월(7조8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축소된 수준이다.

전년동월대비 가계대출 증가율은 지난 7월 10.0%, 8월 9.5%, 9월 9.2%에 이어 10월 8.6%로 둔화되는 추세다.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은 은행권과 제2금융권 모두 전월대비 축소됐다. 10월 주담대 증가폭은 5조3000억원으로 전월(6조7000억원)대비 증가폭이 축소됐다.

기타대출은 8000억원 늘었다. 지난 9월(1조2000억원)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줄어든 셈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가계대출은 7월을 정점으로 증가세가 점차 둔화하면서 안정세를 점차 찾아가고 있는 추세"라며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의 차질 없는 시행 등 가계부채 연착륙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