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이 최근 국내 요소수 대란과 관련해 아쉽지만 전화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입장을 10일 밝혔다. 사진은 이날 국회 운영위원회에 참석한 유 실장. /사진=뉴스1
유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이 최근 국내 요소수 공급 차질과 관련해 “비싼 수업료를 냈다고 생각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유 실장은 1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에서 이수진 의원(더불어민주당·서울 동작구을)의 요소수 관련 대책 질의에 “다음주 말까지 확보할 물량에 대한 초단기 대책, 수개월 물량의 단기대책, 장기적으로 국가 의존도가 높은 것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했다”고 답했다.

이어 “초단기 문제와 관련해 요소(요소수의 원료)가 한 달에 소요되는 양이 1만5000~1만8000톤 정도인데 중국에서 이미 계약된 1만8700톤, 국내 재고 1만톤 등을 합치면 다음 주말까지 확보할 수 있는 양이 2만 톤 이상”이라고 언급했다. 이에 대해 “3개월 정도는 국내 차량용 공급이 가능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유 실장은 “단기적으로는 외교적으로 접촉하는 나라가 여러 나라 있어 중국 외에 대책이 나오게 돼있다”며 “장기적으로는 국내에 적어도 전략적으로 어느 정도 안정적인 재고는 있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국내에 생산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이자 의원(국민의힘·경북 상주시문경시)이 지적한 정부의 늦장대응과 관련해서는 “좀 더 일찍 예견하고 준비를 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은 있다”며 “지난 2019년 일본 수출규제가 오히려 한국 산업에 전화위복 됐듯 학습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지난주부터 (요소수 대란 관련) 대응을 굉장히 빨리 잘 해왔다”며 “시장 영향 등 준비를 빨리했으면 (대란이 없었을 것이이라는 지적을) 뼈아프게 가지고 내부적으로 (문제를) 한번 짚어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