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이하 한국시각) 미국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미국 국무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이란 핵합의 복원을 위한 협상이 결렬될 경우 대이란 추가 제재 등의 수단을 준비하고 있다며 이란을 압박했다. 사진은 지난달 JCPOA 복원을 위한 당사국 회담 모습. /사진=로이터
미국 국무부 고위 관계자가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복원을 위한 협상이 결렬될 경우 대이란 추가 제재 등의 수단을 준비하고 있다며 이란을 압박했다.
지난 5일(이하 현지시각) 미국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익명을 요구한 이 관계자는 이날 "이란의 핵 기술 개발로 인해 핵합의 복귀가 불가능해진다면 우리가 준비한 다른 외교적인 결과들을 보게 될 것"이라며 미국 주도의 대이란 추가 제재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란은 지난 2015년 미국·중국·프랑스·독일·러시아·영국과 함께 JCPOA를 체결했다. 합의 내용은 이란이 우라늄 농축을 3.67% 이하로 제한하는 대신 국제사회가 대 이란 2차 제재를 해제하는 것이다. 하지만 지난 2018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일방적으로 JCPOA 탈퇴를 선언함과 동시에 대이란 제재를 부여했다. 

반대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후보자 시절부터 JCPOA 복원을 강조했다. 실제로 지난달 오스트리아 빈에서는 JCPOA 당사국인 이란·러시아·중국·프랑스·영국·독일 대표단이 JCPOA 복원을 논의한 바 있다. 미국은 직접 참여하지 않고 유럽국가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협상에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