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의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 신약물질 'HM43239'가 기존 약물로 치료되지 않는 환자를 대상으로 암세포 사멸 효과를 나타냈다. /사진=뉴스1
한미약품의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 신약물질 'HM43239'가 기존 약물로 치료되지 않는 환자를 대상으로 암세포 사멸 효과를 나타냈다. HM43239는 한미약품이 최근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바이오기업 앱토즈에 라이선스 아웃한 신약이다. 
한미약품은 기존 약제에 반응이 없거나 내성이 생긴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게 투여해 우수한 효과를 보인 한미약품의 항암 혁신신약 HM43239 임상 데이터가 해외 학회를 통해 공개됐다고 14일 밝혔다.

앱토즈는 11일부터 14일(현지시각)까지 온·오프라인으로 열린 제63회 미국혈액학회(ASH) 연례 회의에서 HM43239 임상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는 본 임상시험 대표연구자인 MD앤더슨 암센터 나발 데버 교수가 맡았다.


이번 임상시험에서 HM43239는 재발 혹은 불응성 급성골수성백혈병(AML) 환자 대상으로 지속적인 단일 요법으로서 항종양 활성화를 입증했다.

HM43239의 임상 1/2상은 2019년 3월부터 2021년 8월까지 다기관에서 모집된 항암화학요법 등 1개 이상의 치료를 받은 34명의 재발 혹은 불응성 환자에게 1일 1회 20㎎에서 160㎎ 사이 정해진 용량의 HM43239를 경구 투여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한미약품에 따르면 시험결과 HM43239는 다수의 환자에서 완전관해 반응을 이끌었다. 또 이 환자들에서 성공적 조혈모세포이식(HSCT)으로 연결되거나 지속적인 반응을 유지하는 등의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유익함을 입증했다.


파엘 베아 앱토즈 최고 의학 책임자는 "HM43239는 오늘날 항암 분야에서 가장 까다롭고 불균일한 질병 중 하나인 재발 및 불응성 AML에서 단일 약제로서 분명한 유전형 불문 임상적 활성을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윌리엄 라이스 앱토즈 회장은 “우리에게 가장 새롭고 성숙한 연구단계 약물인 HM43239가 매우 까다로운 AML에서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며 “시판허가 단계까지 발전시켜 나갈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