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지난 20일 기준)는 93.9로 집계됐다. /사진=뉴스1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가 2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올해 전국에서 집값이 가장 많이 오른 인천도 매수자 우위 시장으로 돌아섰다. 2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지난 20일 기준)는 93.9로 집계됐다. 지난주 95.2와 비교해 1.3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2019년 9월 16일 기록한 93.0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매매수급지수는 부동산원의 회원 중개업소 설문과 인터넷 매물 건수 등을 분석해 수요와 공급 비중을 지수화한 것이다. '0'에 가까울수록 공급이 수요보다 많고 '200'에 가까울수록 수요가 공급보다 많다는 의미다. 기준선인 100을 넘어 높아질수록 매수심리가 강하다는 것으로, 100 밑으로 떨어져 지수가 낮아질수록 매수심리가 약한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달 15일 99.6으로 100 밑으로 떨어진 후 6주 연속 수요보다 공급이 많은 상태다. 집값 고점 인식 확산과 금융당국의 대출규제가 맞물리면서 매수세가 위축된 상황이 지속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권역별로 보면 은평·서대문·마포구 등이 포함된 서북권 매매수급지수는 지난주 93.3와 비교해 2.1포인트 떨어진 91.2로 나타났다. 서울 5개 권역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다.
중구·종로구·용산구 등이 포함된 도심권은 지난주 94.8에 비해 3.2포인트 하락한 91.6를 기록했다. 이른바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지역이 속한 동북권은 94.3에서 93.4로, 영등포·양천·구로·동작구 등이 있는 서남권은 96.1에서 95.4로 내렸다. 고가 아파트들이 집중된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 역시 지난주 96.5에서 이번 주 94.6으로 떨어졌다.
수도권 기준으로 보면 이번 주 95.3를 기록, 4주 연속 기준선을 밑돌고 있다. 전국 기준으로는 96.8로 3주째 100 이하다.
올해 전국에서 가장 집값이 많이 상승한 인천도 이번 주 매수자 우위 시장으로 돌아섰다. 99.8을 기록, 지난해 10월 5일 이후 1년 2개월 만에 100 이하로 내려갔다.
경북 또한 99.4를 기록하며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은 분위기가 됐다.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는 세종은 지난주 84.8에서 3.7포인트 하락한 81.1로 집계됐다.
전세시장도 상황은 비슷하다.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는 96.9를 기록, 3주 연속 100 이하를 나타냈다. 전국 기준으로는 99.4를 나타내며 지난해 6월 이후 처음으로 기준선 100 아래로 내렸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