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컨테이너 물돌량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다./사진=뉴스1
지난해 컨테이너 물돌량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다.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이 총 15억8071만t으로 전년(14억9925만t) 대비 5.4% 증가했다고 23일 밝혔다.
수출입 물동량은 전년(12억7623만t) 대비 5.9% 증가한 13억5113만t으로 집계됐다. 세계 경기 회복세에 따라 자동차·기계류 수출 물동량과 철광석 수입 물동량, 석유제품 수출입 물동량이 증가한 영향이다.
특히 컨테이너 물동량(TEU 기준)은 지난해 세계 주요 항만들의 컨테이너 물류 적체 현상에도 불구하고 전년(2910만 TEU) 대비 3.1% 증가한 약 3000만 TEU(2만9997 TEU)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위기 이전인 2019년(2923만 TEU) 보다 2.6% 증가했다.
연안 물동량의 경우 주택공급정책 확대 및 경제회복에 따른 시멘트 및 광석 물동량 증가 영향으로 전년(2억2302만t) 대비 2.9% 증가하해 총 2억2958만t을 처리했다.
수출입은 미국(11.1%) 중국(3.3%) 등 주요 국가의 물동량 증가로 전년(1643만 TEU) 대비 4.3% 증가한 1억1714만 TEU를 기록했다. 전년과 대비해 수출 물동량은 3.2% 증가한 855만 TEU, 수입 물동량은 5.4% 증가한 858만 TEU를 달성했다. 환적은 전년(1249만 TEU) 대비 1.5% 증가한 1268만 TEU를 기록했다.
지난해 전국 항만의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총 10억4956만t으로 전년(9억9949만t) 대비 5.0% 늘어났다. 광양항, 인천항, 평택·당진항 등은 증가한 반면 울산항은 감소했다.
이민석 해수부 항만물류기획과장은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수출과 무역의 호조로 인해 2021년 컨테이너 물동량은 코로나 이전으로 회복했다"며 "다만 세계 주요 항만의 연쇄적 적체로 인한 글로벌 해상물류 차질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