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투데이
#. 직장인 김씨는 외출 후 꼭 자가검사키트로 검사를 하고 있다. 잡히지 않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에 오미크론 변이까지 겹치면서 불안한 맘이 들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제는 가격. 자주 사용하는 거 좀 더 저렴하게 구매하는 방법을 찾던 중 '코로나 자가진단키트 특별공급 공문'이란 문자를 받게 됐다. 업체는 자가검사 키트를 저렴하게 살 수 있다면서 재고물량이 부족해 당분간 재입고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마음이 급해진 김씨는 공문에 적힌 연락처로 전화해 선결제로 12만원을 보냈다. 하지만 업체는 이후 연락을 받지 않았고 김씨는 뒤늦게야 보이스피싱이란 걸 알게됐다.
코로나19 확진자 급증 상황을 악용해 자가검사키트 공급·구매 등을 내세워 개인정보와 자금을 편취하는 보이스피싱 피해가 늘고있다.

금융감독원은 24일 자가검사키트를 필요로 하는 국민들의 불안심리를 이용한 보이스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며 '소비자경보'를 발령했다.
사진=금감원
사기수법은 보통 정부 지원으로 자가검사키트를 특가에 공급한다며 약국이나 편의점 등 판매처 점주들을 유혹하는 식이다. 사기범은 특별공급을 빙자한 허위공문을 판매처에 배포하고 선결제 명목으로 돈을 보내도록 유도한다.
또 자가검사키트를 시중가격보다 저렴하게 대량으로 구매할 수 있고 '한정된 기회'라며 소비자를 유혹하기도 한다. 허위 구매사이트를 빙자한 악성 홈페이지 주소를 보내 원격 조종 애플리케이션 설치를 유도하는 식이다. 현재 자가검사키드는 정부방침에 따라 약국이나 편의점 등에서만 개당 6000원에 5개까지만 구매할 수 있다.


이밖에 자가검사키트 구매 대금결제가 승인됐다는 가짜 메시지를 발송한 후 피해자로부터 연락이 오면 명의가 도용됐다거나 범죄에 연루됐다고 말한다. 이후 다른 사기범이 경찰 등을 가장해 피해자에게 전화한 후 안전계좌로 자금을 이체해야 한다는 등의 명목으로 송금을 요구하는 식이다.

또 코로나19 정책지원금을 빙자한 사기문자, 지인을 사칭해 자가검사키트 구매에 필요한 돈을 요구해 편취하는 방법도 등장했다.

금감원은 "정부기관, 제도권 금융회사 등은 문자·전화를 통한 특별 광고, 개인정보 제공 및 송금 등을 절대 요구하지 않으니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모르는 번호는 가급적 받지 말고 이미 전화를 받은 경우에는 수상한 요구에 응하지 말고 전화를 바로 끊어야 한다"며 "보이스피싱 피해 발생시엔 신속히 지급정지를 요청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