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정부 관계자는 그동안 우크라이나 지명을 러시아어 발음으로만 표기해오던 관행을 고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진은 이날 키예프 소재 건물 모습. /사진=로이터
정부가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 표기를 러시아어 발음인 '키예프'와 우크라이나어 발음인 '키이우'로 병기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2일 외교부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우크라이나 지명 표기 방법 문의 등이 잇따르자 러시아어 발음과 우크라이나어 발음을 병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현행 '외래어표기법'은 지명 등 고유명사의 경우 원지음에 따라 표기하는 게 원칙이지만 '제3국 발음으로 통용되는 경우엔 그 관용을 인정한다'고 돼 있다. 이에 러시아어 발음에 가까운 '키예프' 표기가 굳어졌다.
이날 정부 관계자는 "우크라이나 정부는 1996년 헌법에서 '우크라이나어'를 공식 언어로 채택했다"며 "현지어 발음이 '키예프'와 다른 점 등을 감안해 우리 말 표기 변경을 국립국어원과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국립국어원에선 '키예프'의 경우 '키이우'로 표기하자는 의견을 외교부에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정부는 오랜기간 통용돼온 우크라이나 지명 표기를 갑자기 바꾸면 혼란이 생길 수 있다는 판단에서 일단 기존 표기와 우크라이나어 발음 표기를 병기하는 방안에 무게를 둔 것으로 전해졌다. 다른 정부 관계자는 "정식으로 외국 지명 등에 대한 표기를 바꾸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며 "잠정적으로나마 가능한 건 병기 방안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정부 관계자는 "우크라이나 정부는 1996년 헌법에서 '우크라이나어'를 공식 언어로 채택했다"며 "현지어 발음이 '키예프'와 다른 점 등을 감안해 우리 말 표기 변경을 국립국어원과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국립국어원에선 '키예프'의 경우 '키이우'로 표기하자는 의견을 외교부에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정부는 오랜기간 통용돼온 우크라이나 지명 표기를 갑자기 바꾸면 혼란이 생길 수 있다는 판단에서 일단 기존 표기와 우크라이나어 발음 표기를 병기하는 방안에 무게를 둔 것으로 전해졌다. 다른 정부 관계자는 "정식으로 외국 지명 등에 대한 표기를 바꾸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며 "잠정적으로나마 가능한 건 병기 방안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주한우크라이나대사관은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한국에서 우크라이나의 여러 지명이 침략국 러시아의 발음으로 표기되는 점은 우크라이나인들에게 커다란 상처와 아픔이었다"며 자국 지명을 우크라이나어 발음에 가깝게 표기해줄 것을 요청했다.
정부는 앞으로 우크라이나 측이 자국 지명 표기와 관련해 문서상으로 공식 요청해올 경우 국립국어원 '정부‧언론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 심의를 거처 변경안을 마련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앞으로 우크라이나 측이 자국 지명 표기와 관련해 문서상으로 공식 요청해올 경우 국립국어원 '정부‧언론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 심의를 거처 변경안을 마련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