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페이 화면./사진=대구시 제공
대구시는 17일부터 스마트폰으로 삼성페이를 통해 결제가 가능한 '대구 행복페이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를 시행한다. 
앞서 시는 지난해 11월 1일 삼성전자와 '대구행복페이 모바일 간편결제 도입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대구행복페이-삼성페이' 연계결제 기술 개발과 운영 테스트 등을 진행해왔다. ]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 시행에 따라 내일부터 대구행복페이 가입자들은 신용카드를 소지하지 않아도 된다. 결제 방식은 삼성페이앱에 대구행복페이 카드를 등록하고 스마트폰을 카드결제 단말기에 터치하면 된다. 다만 삼성페이가 탑재된 스마트폰 사용자만 이용이 가능하다. 

대구행복페이는 충전 시 10% 할인 혜택에 힘입어, 2020년 3000억에서 지난해 1조430억원의 판매 규모로 급성장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해왔다. 

올해는 1조 1000억원을 발행하며, 연매출 10억원 이하 가맹점에 대해 대구행복페이 결제 시 부과되는 카드결제 수수료 최대 1%를 전액 지원해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을 지원한다. 

이달부터는 대구형 배달앱 '대구로'와 연계해 '대구행복페이'로 주문 시 5% 추가 할인해 준다. 이용자 편의를 위해 지난해 11월 대구행복페이 전용 모바일앱 '아이엠샵(IM#)'을 전면 개편해 승인내역 푸쉬(PUSH) 알림을 무료 서비스로 제공하고, QR방식의 모바일 결제도 도입했다. 

또 매달 초 앱에서 대구행복페이 충전 이용고객들이 순간적으로 급증해 불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거래량 제어 솔루션'을 도입해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시는 출산 가정에 건강 관리사를 파견해 회복을 도와주는 '대구형 산모건강관리사 파견사업'과 전입한 타지역 출신 대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지역정착을 돕기 위해 '대구 전입대학생 정착지원금' 등 다양한 지원금을 대구행복페이로 지급한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으로도 대구행복페이를 사용할 수 있게 해달라는 시민 제안에 따라 대중적 선호도가 높은 삼성페이를 모바일 간편결제 방식으로 채택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