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16일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임기 말 '낙하산 인사'를 한다고 지적했다. 사진은 지난 14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발언하는 문 대통령. /사진=뉴스1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오찬 회동이 돌연 연기된 가운데 국민의힘이 문 대통령을 향해 임기 말 '낙하산 인사'를 하고 있다며 비판했다.
윤 당선인 측은 임기 말 공기업 인사 등을 자제하고 단행한다 해도 협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청와대는 대통령 임기 중 인사는 고유권한이라며 불쾌감을 나타내고 있다.  

허은아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16일 논평에서 "임기 초 '낙하산 인사는 없을 것'이라던 문 대통령의 말은 결국 허언이 되어버렸다"며 "임기 동안 '기회의 평등, 과정의 공정, 결과의 정의'라는 말이 산산조각이 나버리던 그 많은 순간순간에 예견되었던 일"이라고 지적했다.


허 대변인은 "문 대통령은 차기 정부가 국정 공백 없이 안정적으로 출발할 수 있도록 협력해 갈 것을 공언했지만 실상은 '캠코더(캠프, 코드, 더불어민주당 출신) 인사'로 가득한 무책임한 인사의 연속"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정권을 두 달도 남기지 않은 상태에서 청와대 출신 인사, 민주당 보좌진 출신이 한국 IPTV방송협회장, 한국공항공사 사장, 한국가스안전공사 상임감사 등의 요직에 줄줄이 기용됐다"고 꼬집었다.

그는 "임기 3년의 한국원자력안전재단 이사장에 전문성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시민단체 출신 '탈원전 인사'가 임명된 것은 정권 말 인사 참사의 화룡점정"이라며 "5년 전 '곳곳에 알박기와 나눠 먹기가 성행해서 도덕적 해이가 심각하다'던 당시 민주당 윤호중 정책위의장의 말은 이제 고스란히 자신들을 향하고 있을 뿐"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은 국민의 삶을 보듬기는커녕 오히려 도탄에 빠지게 만드는 전문성 없는 인사, 검증되지 않은 코드인사, 내로남불 인사행태를 밝혀낼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국민에게서 나온 권력을 오직 국민께 돌려드린다'는 신념으로 국민을 위한 공직의 무게를 엄중히 인식하고 철저한 검증을 통해 전문성 있는 인사를 이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