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영매체들이 10일(현지시각) 윤석열 대통령 취임식을 맞아 한국이 미국의 대중 억제진영에 합류할 경우 한국의 이익을 훼손할 수 있다고 전했다. 사진은 윤 대통령이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20대 대통령 취임식에서 취밈선서를 하는 모습. /사진=장동규 기자
중국 관영매체들이 윤석열 대통령이 미국과 안보 협력을 강화할 경우 "한국에 이롭지 않은 선택일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는 10일(이하 현지시각) 사설을 통해 "(미국) 워싱턴이 한국을 인도태평양 전략 포석의 하나로 만들려 하는데 이는 대중 관계에 가장 큰 변수가 될 것"이라며 "워싱턴은 한국을 대중 압박 진영에 합류시키려 하지만 이는 한국의 이익을 훼손하고 경제 발전을 훼손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이어 "인수위원회가 발표한 정책과제에 사드(THAAD) 추가 배치가 포함되지 않은 점에 주목한다"며 "국내외 정치적 압력이 있지만 한국이 자주 노선을 견지한다면 한국의 이익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쑤하오 중국외교대학 전략평화연구소 주임은 중국신문망과 인터뷰에서 "윤 대통령은 보수 인사로서 군사 안보 분야에서 미국과 협력을 강화하고 미국에 더 많이 의존할 수 있다"며 "한미일 동맹 강화와 파이브아이즈(미국·영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와 쿼드(미국·호주·인도·일본) 가입을 계획하는 등 '친미' 카드를 활용 중"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의 느슨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정책이 경제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예측도 나왔다. 쑤 주임은 "윤 대통령은 전염병 예방과 통제 경험이 부족한 상태에서 느슨한 방역을 채택할 수 있다"며 "이는 코로나19 확산으로 경제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윤 대통령이 청와대로 들어가지 않은 데 대해 '출퇴근 대통령'이라는 제목의 기사도 나왔다. 중국중앙(CC)TV는 이날 "윤석열 대통령은 집무실을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고 대통령 관저도 용산구 외교부 장관 관사로 옮기기로 했다"며 "이는 집무실과 거주지가 분리되는 '한국 최초의 출퇴근 대통령'"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