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용자가 체감하는 통신서비스 품질 향상 및 투자 확대 등을 위해 '2022년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에서 5G 서비스 등에 대한 평가를 강화하겠다고 2일 밝혔다. /사진=이미지투데이
과기부는 전국의 모든 지하철, 고속철도(KTX, SRT) 및 고속도로 전체 노선 및 구간에 대해서도 평가하겠다고 밝혔다. 여타 농어촌 지역 또한 이통3사 공동망 상용화 일정을 고려해 내년부터 본격적인 평가를 추진한다.
기존 주요 다중이용시설 외에도 전국 85개 시 전체 행정동 및 주요 읍면 지역의 모든 중소시설 중에 무작위로 선정해 5G 접속 가능 여부를 점검한다.
대규모 아파트 단지 등 주요 거주 지역과 대학교 주요 건물 실내 등도 평가한다. 출입 가능한 아파트 댁내에 대해서도 시범 측정을 추진한다.
지하철 및 고속도로 등의 경우 출·퇴근 시간 등 다양한 시간대에 걸쳐 측정한다. 측정 속도를 하위 30%·중위 40%·상위 30% 등으로 구분해 분석·발표하는 등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도 밝혔다.
4세대 이동통신(LTE) 서비스에 대해서도 품질 평가를 추진한다. 도시·농어촌 및 취약지역(도서·등산로·해안도로 등) 등을 포함해 전국을 대상으로 평가한다. 와이파이 및 유선인터넷에 대해서도 버스 와이파이 및 2.5G·5G·10G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신규 추진한다.
2022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의 결과는 오는 12월에 발표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