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저축은행·카드사 등 2금융권의 리스크 관리에 돌입했다. 고물가, 기준금리 인상기 속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시중은행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취약차주가 많은 만큼 대출부실화를 선제적으로 막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그래픽=머니S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금융당국은 2금융권 실무진을 만나 충당금을 충분히 쌓으라는 의견을 전달했다.
리스크도 점검한다. 방기선 기획재정부 1차관은 지난달 31일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거시·금융·외환시장 곳곳에서 가장 취약한 연결고리를 찾는 세심함을 유지해야 한다"며 "위기 장기화로 어려움이 가중된 자영업자 부채와 이와 관련이 높은 2금융권 리스크 요인을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2금융권은 시중은행과 비교해 저신용자, 취약차주가 상대적으로 많은 데다 고금리가 적용돼 부실 위험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무엇보다 상승곡선을 탄 대출금리가 문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4월 중 2은행권의 일반대출금리는 모두 상승했다. 저축은행의 일반 대출금리는 9.69%로 집계돼 전달(9.24%) 보다 0.45%포인트 오르며 증가폭이 가장 두드러졌다. 저축은행의 일반대출금리는 올해 1월 9.22%에서 2월 9.10%로 감소한 이후 3월(9.24%) 상승세로 전환됐다.
같은 기간 상호금융과 새마을금고의 일반대출금리는 전달과 비교해 0.05%포인트 각각 오르며 4.01%, 4.53%로 집계됐다. 신용협동조합은 0.01%포인트 상승한 4.48%로 나타났다.
2금융권은 여러 금융사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의 이용이 많아 연체율 증가에 따른 부실이 연쇄적으로 퍼질 수 있다는 점도 우려되는 분이다. 한국신용정보원이 지난해 발간한 '저축은행 신용대출 차주 특성 분석 및 시사점'에 따르면 저축은행 신용대출 차주 중 66%는 여러 곳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로 나타났다.
배경진 예금보험공사 선임조사역은 최근 발표한 '저축은행업권 내 실적 양극화 현황 및 전망' 보고서를 통해 "향후 성장제한, 부실화 가능성에 대비해 중소형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이익 유보과 충당금 적립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짚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