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물가 상승률이 5.4%로 집계되며 13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자 정부가 매주 '비상경제장관회의'를 통해 민생경제 안정에 나선다. 사진은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물가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는 모습./사진=뉴스1
지난 5월 물가 상승률이 5.4%로 집계되며 13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자 정부가 매주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열고 민생경제 안정화에 나선다.
1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 15일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경제관련 부처들의 위기대응 체제 전환을 위해 부총리 주재 '경제관계장관회의'를 '비상경제장관회의'로 개편해 가동하기로 했다.

이날 기재부에 따르면 오는 19일 첫번째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최근 고물가에 따른 대응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추 부총리는 "최근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국내외 금융시장 변동성도 증대돼 민생경제 어려움이 가중되는 등 우리 경제상황이 어느 때보다 엄중한 비상시국이며 상당기간 복합위기가 지속될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복합 경제위기와의 전쟁을 이겨내기 위해선 범국가적 역량을 결집해 특단의 대책을 신속하게 수립·시행해야 한다"며 비상경제장관회의 개편 배경을 설명했다.

회의는 매주 개최를 원칙으로 하며 관계부처 장관들과 물가·민생·금융·수출·산업활동 등 경제상황을 집중 점검하고 필요 조치가 적기에 마련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추 부총리는 "앞으로 수시로 경제현안을 논의하고 대책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