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반도체 수급 대란에 새 차 인도 기간이 지연이 지속되면서 새 차에 버금가는 중고차의 가치가 계속 뛰고 있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중고차 매매 단지. /사진=뉴스1
5일 직영중고차 플랫폼 케이카에 따르면 출시 12년 이내 740여개 중고차 모델을 대상으로 평균 시세를 분석한 결과 7월 시세는 지난달에 이어 전반적인 하락이 예상되지만 '새 차급 중고차'는 꾸준한 수요로 감가 방어가 예측된다.
새 차급 중고차는 현재 생산 중인 출고 1년 이내 최신 모델로 주행거리도 적게는 수백km에서 최대 1만km대를 주행한 매물이다. 새 차급 상태를 보여주면서 제조사 보증이 잔존하고 출고 대기 없이 바로 구입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조사 대상 모델들을 등급별로 살펴보면 2021~2022년 출고된 차 중 국산의 66%, 수입의 53%가 전월 시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출고 차량은 77%(국산 78%, 수입 74%)가 시세 유지로 전망된다. 중고차 시장의 주력인 차령(3년~7년 사이)에 해당하는 2016~2020년 사이 출고 차량 전체 모델·등급 중 약 49%가 전월보다 하락이 예상되는 것과 대조된다.
주요 모델의 시세 변동률을 살펴보면 제네시스 G80(RG3) 시세는 2022년식이 전월보다 0.5% 상승할 전망이다. 반면 2021년식은 0.4%, 2020년식은 1.0%씩 각각 전월 대비 하락할 전망이다.
기아 카니발 4세대의 경우 2022년식은 전월대비 시세가 0.2% 하락이 예상된다. 2021년식(0.5% 하락)이나 2020년식(1.4% 하락)과 비교해도 시세 하락 예상폭이 작다.
새 차급 중고차에 대한 높은 관심은 판매량에서도 확인된다. 새 차급 중고차의 거래가 본격화되는 2분기 케이카의 신차급 중고차 판매량을 비교해보면 올 2분기 판매량은 전년대비 26% 뛰었다.
이민구 케이카 PM1팀 수석 애널리스트는 "전체적인 시장 분위기가 하락세인 상황에서 반도체 수급난 속 새 차 출고 대기 기간이 1년 이상에 달하는 인기 차종을 중심으로 새 차급 중고차의 감가 방어가 계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시장 전반에서는 고유가 여파로 인해 디젤(경유) 모델의 비중이 높은 브랜드가 약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