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가 국내 매출액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8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가 86.9를 기록, 22개월 만에 90을 하회했다. / 사진=뉴시스
26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8월 종합경기 BSI 전망치는 86.9를 기록했다.
BSI가 기준치인 100보다 높으면 긍정적 경기 전망을, 100이하는 반대를 의미한다. 종합경기 BSI가 90 아래로 내려온 것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한창이던 2020년 10월(84.6) 이후 22개월 만이다. 특히 8월 제조업 BSI는 주요 수출 대상국의 경기 위축으로 지수 값이 80대 초반까지 밀렸다.
올해 들어 BSI는 3월(102.1)을 고점으로 5개월 새 15.2포인트 급락했는데 이는 메르스 확산 당시 2015년 3~7월 19.4포인트 하락 이후 낙폭이 가장 크다.
업종별 8월 BSI는 3개월 연속 제조업(82.5)과 비제조업(91.4)이 동시에 부진했다. 제조업과 비제조업이 모두 3개월 이상 부진 전망을 기록한 것은 2020년 10월 이후 22개월 만이다.
세부 산업별 8월 BSI를 살펴보면 제조업 중에서는 반도체 기업이 포함된 전자·통신장비업(107.1)과 의약품(100.0)만 기준선 100이상을 기록했다. 비제조업은 호조 전망(100 초과)을 보인 산업이 전무했다.
부문별 8월 BSI는 2개월 연속 고용(103.4)만 유일하게 긍정 전망이 유지됐고 나머지 부문은 모두 부정적 전망을 나타냈다.
특히 채산성(89.6)과 자금사정(89.6)은 2020년 8월(채산성 85.1, 자금사정 88.3) 이후 24개월 만에 처음으로 90선 아래로 떨어졌다.
국내 기준금리가 큰 폭으로 인상되면서 회사채 금리가 상승하는 등 기업 자금조달 환경이 악화된 데다 원·달러 환율 급등세에 따른 원자재 수입단가 상승이 기업 채산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최근 고물가·고금리·고환율 상태가 지속됨에 따라 기업들의 경영환경이 극도로 불투명해져 투자·고용이 악화될 위험성이 커졌다"면서 "기업의 세 부담 경감으로 비용부담을 완화하고 불필요한 규제를 개선함으로써 민간경제에 활력을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