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수요자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아파트 입주 경기가 악화됐다. 이에 10가구 중 4가구는 새 아파트에 입주를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뉴스1
17일 주택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아파트 입주전망지수'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미입주 원인을 살펴본 결과 '기존 주택매각 지연'이 40%로 가장 높았다. 이어 ▲잔금대출 미확보(28.0%) ▲세입자 미확보(26.0%) 순으로 나타났다.
주택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입주율 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주택거래 활성화와 무주택자에 대한 대출 지원 강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완화 등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2년 8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 /사진=뉴스1
지난 7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전월대비 2.7%포인트(p) 하락한 79.6%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의 경우 86.7%에서 88.7%로 2.0%p 상승했다. 반면 6대 광역시는 82.5%에서 79.6%로 2.9%p 하락했고 기타지역은 80.4%에서 76.1%로 4.3%p 낮아졌다.
이달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전월(68.3)대비 1.3p 오른 69.6으로 개선 전망은 컸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4.6p(71.0→66.4) ▲광역시 5.1p(68.8→63.7) 악화된다고 전망됐다. 다만 기타지역은 8.3p(66.9→75.2) 개선될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조정대상지역과 투기과열지구가 일부 해제됐음에도 ▲대구는 0.3p(52.0→51.7) ▲대전 9.8p(76.4→66.6) ▲경남 6.3p(75.0→68.7) 등 3개 시·도는 입주전망이 더 악화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