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첫 '초강력' 태풍인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한반도에 상륙할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사진은 31일 오전 3시 기준 태풍 힌남노 예상 이동 경로. /사진=뉴스1
31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3시 기준 힌남노는 일본 오키나와 동쪽 약 390㎞ 지점까지 이동한 상태다. 서쪽으로 시간당 26㎞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
중심기압은 915h㎩, 최대풍속은 초속 55m(시속 198㎞)로 강도는 '초강력' 수준이다. 강풍 반경은 230㎞다. '초강력'은 최대 풍속이 '54m/s 이상(시속 194㎞)'으로 파급력은 건물이 붕괴하는 수준이다.
기상청은 힌남노가 31일 오후 오키나와 남동쪽에 상륙해 다음달 1일 오후까지 남서쪽으로 이동할 것으로 보인다. 이어 오키나와 인근 30도 안팎의 고수온역에서 에너지를 쌓을 것으로 예측했다.이후 북진을 시작할 예정이다.
중요한 건 북상 각도다. 앞서 기상청의 한국형 수치예보 모델(KIM)과 유럽 중기예보센터 모델(ECMWF), 영국 기상청 통합모델(UM) 등은 힌남노가 북위 30도를 넘기 전에 제주도보단 오른쪽에 위치할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나 이날 기상청 예보는 태풍이 다음달 5일쯤 북위 30도에 근접할 수록 우리 서해 부근과 더 가까운 걸로 표시됐다. 태풍은 왼쪽으로 치우칠수록 우리나라에 직간접 영향이 커질 수 있다.
다만 기상청은 태풍이 우리 내륙에 상륙할지는 여전히 미지수라고 밝혔다. 통상 3~5일 뒤 태풍 예상 이동 경로를 예보하기 때문에 한반도에 근접할 때의 양상을 예보하기엔 시일이 더 필요하단 입장이다. 기상청은 "태풍이 여전히 변동성이 큰 만큼 수시 예보와 브리핑을 통해 국민에게 알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