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부동산 편법거래 적발 건수가 6500건을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뉴스1
1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병욱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 성남시분당구을)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부동산 시장 불법행위 단속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2년 7월까지 부동산 실거래 조사 결과 총 6594건이 적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 1924건 ▲2021년 313건 ▲2022년 1~7월 4357건으로 집계됐다. 전체 적발 건수 중 편법 증여가 4490건(68%)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거짓 신고 2173건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위반 179건 ▲명의신탁 93건 등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20년 1499건 ▲2021년 63건 ▲2022년( 1~7월) 2928건으로 늘어났다.
검찰과 경찰 등 수사기관이 적발한 불법 전매와 공급 질서 교란 행위는 최근 3년(2020~2022년 7월)간 1401건 적발됐다. 구체적으로 '불법 전매'가 431건, '공급 질서 교란 행위'가 970건이었다.
김 의원은 "부동산 거래 시장 질서를 왜곡하고 주택공급 질서를 교란하는 행위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며 "부동산 매매 시 선의의 피해자를 막기 위해 부동산 시장의 편법·탈법적 행위에 대한 단속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