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은행 관계자가 달러화를 정리하는 모습./사진=뉴스1
지난달 국내 외환보유액이 70억달러 이상 늘면서 2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통화긴축 속도를 조절하면서 원/달러 환율이 1200원대로 떨어지자 외환당국이 지난달 시장개입을 줄인 영향이다. 여기에 달러화 가치가 떨어지면서 유로화 등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달러 환산액도 늘어난 결과로도 분석된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2022년 12월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지난달말 국내 외환보유액은 4231억6000만달러로 전월말보다 70억6000만달러 증가했다. 이는 2개월 연속 증가세인 동시에 2020년 11월(98억7000만달러) 이후 2년1개월만에 최대 증가폭이다.


앞서 외환보유액은 지난해 8월(-21억80000만달러), 9월(-196억6000만달러), 10월(-27억6000만달러) 등 3개월 연속 줄다가 원/달러 환율이 안정세를 보인 11월(20억9000만달러)부터 12월(70억6000만달러)까지 2개월 연속 증가했다.

달러화 가치가 하락하면서 달러 자산을 매수하고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미 달러 환산액이 늘어난 점이 증가세로 이어졌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실제로 지난해 10월 중 1400원대 중반까지 뛰었던 원/달러 환율은 지난달말 1200원대로 떨어졌다.


연준이 지난달 금리 인상 폭을 자이언트스텝(금리 0.75%포인트 인상)에서 빅스텝(금리 0.50%포인트 인상)으로 낮춘 데다 일본은행이 통화긴축 기조로 전환할 것이라는 기대에 엔화 가치가 오르면서 달러화가 약세로 돌아선 것이다.

달러화 가치는 하락했다. 지난달말 기준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미 달러화 지수인 달러인덱스(DXY)는 1003.84로 전월(106.82)보다 2.8% 하락했다.

미 달러화가 평가 절하되면서 유로화·파운드화 등 다른 외화자산을 미 달러로 환산한 외화자산이 늘았다.

미 달러화 대비 유로화는 3.3%, 영국 파운드화는 0.9%, 호주달러화는 1.4% 절상됐다. 일본 엔화 가치도 4.4% 상승했다.

외환보유액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미 국채, 정부기관채, 회사채 등 유가증권은 3696억9000만달러로 전월대비 40억7000만달러 늘었다.

현금성 자산인 예치금은 26억7000만달러 증가한 293억5000만달러로 집계됐다. 달러가 약세를 보이자 달러와 미 국채를 매수해 유가증권과 예치금 보유 비중을 늘린 영향이다.

전체 외환보유액에서 예치금 비중은 지난해 11월 6.4%에서 12월 6.9%로 확대됐다.

국제통화기금(IMF) SDR(특별인출권)은 148억4000만달러, IMF포지션은 44억9000만달러로 전월보다 각각 1억9000만달러, 1억3000만달러씩 늘었다. 금은 전월과 같은 47억9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11월말 기준 국내 외환보유액은 세계 9위로 전월 순위를 유지했다.

1위 중국이 3조1175억달러로 1위를 유지했다. 2위 일본은 1조2263억달러, 3위 스위스는 9059억달러를 보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