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이 하락 곡선을 그리면서 주택연금 신규 가입자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사진은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 아파트 단지 모습./사진=뉴스1
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국민의힘·비레대표) 의원이 주택금융공사(HF)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연금 신규 가입 건수는 1만458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1만805건)에 비해 34.9% 늘어난 수준인 동시에 역대 최대치다.
지난해 주택연금 신규 가입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은 집값이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주택연금이란 만 55세 이상의 고령층이 소유주택을 담보로 맡기고 평생 동안 매월 안정적인 노후자금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국가가 보증하는 금융상품이다.
안정적인 주거 확보와 함께 노후소득이 발생해 지난 2007년 출시된 이후 가입자가 꾸준히 증가해왔다.
주택연금 수령액은 가입 당시 평가한 주택 시가에 따라 정해진다. 이에 따라 집값이 하락할 것이란 심리가 커지면 월 수령액을 한푼이라도 더 받기 위해 주택연금에 서둘러 가입하는 '막차 수요'가 몰린다.
여기에 집값이 떨어지면 주택금융공사가 매년 1회 재산정하는 주택연금 월지급금금이 하향 조정될 것이라는 관측에 가입을 서두른 측면도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주택연금 해지 건수는 3430건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2021년(5135건)에 33.2% 줄었다.
주택연금 해지 건수 추이를 보면 ▲2017년 1731건 ▲2018년 2256건 ▲2019년 2287건 ▲2020년 3826건 ▲2021년 5135건 등 증가세를 지속했다.
집값 폭등기에는 집을 담보로 연금을 받는 것보다 집을 팔아 시세차익을 노리는 게 이득이라는 셈법이다.
주택연금 평균 월지급금은 누적 가입자 기준으로 지난해 115만6000원으로 집계됐다. 수도권이 131만9000원, 지방은 80만7000원이었다.
주택연금 누적 가입자들의 평균 주택가격은 3억6200만원으로 수도권은 4억2300만원, 지방은 2억3000만원으로 집계됐다.
한편 주금공은 오는 3월1일 주택연금 신규 신청자부터 월지급금을 기존보다 평균 1.8% 하향 조정한다. 다만 기존 가입자와 오는 2월28일까지 신청한 가입자는 앞으로 주택가격 등락 등에 관계 없이 변경 전 월지급금을 받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