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지난달 20일 서울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4구역 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해 소방당국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사진=뉴스1
시는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개발 계획을 정하고 본격적인 사업에 돌입한다고 7일 밝혔다. 지난달 구룡마을에서 화재가 발생한 가운데 오세훈 서울시장은 현장을 찾아 "진행되는 재개발 사업이 빨리 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밝혔다.
구룡마을은 서울 마지막 판자촌으로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정부가 도심 내 무허가 건물을 철거하자 쫓겨난 철거민들이 터를 잡은 동네다. 2011년부터 정비사업 방안이 논의됐지만 부지 활용 방안과 보상 방식 등을 두고 땅 주인과 지자체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관련 사업이 오랜 기간 정체됐다.
서울시는 용적률 상향을 통해 공급 규모를 당초 계획한 2800여 가구에서 3600가구로 늘리고 건물 최고 높이는 35층을 예상하고 있다. 시는 2020년 6월 임대 1107가구, 분양 1731가구 등 2838가구를 짓는 구룡마을 사업계획을 고시한 바 있다.
시행사인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조만간 공고를 내고 토지 보상 절차에 돌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감정평가에 따른 공시가격 기준으로 보상 절차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물량 일부에는 '토지임대부' 주택도 포함될 전망이다. 토지임대부 방식은 토지는 SH공사가 소유하고 건물만 분양하는 방식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