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에 한국 대기업의 해외 법인 70곳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 사진=뉴시스
8일 CXO연구소가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 지정 대기업집단 76개 그룹이 공시한 해외 계열사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상반기 기준 76개 대기업 집단 중 19개 그룹이 튀르키예에 총 70곳의 법인을 둔 것으로 파악됐다
한화그룹은 27곳(38.6%)으로 가장 많았다. 한화가 세운 튀르키예 내 해외법인은 태양광 사업을 영위하기 위한 목적이 대부분이었다.
현대차그룹도 9곳의 법인을 두고 있었다. 현대차가 직접 지배하고 있는 완성차 제조 및 판매 업체(HAOS)도 포함됐다.
CJ그룹은 8곳의 법인을 튀르키예에 세운 것으로 조사됐다. CJ 그룹의 경우 물류업과 영화관 운영업, 도매 및 상품중개업과 관련한 사업 목적이 주종을 이뤘다.
삼성은 4곳의 법인을 튀르키예에서 운영 중이며 SK와 LG그룹은 각 3개의 계열사를 튀르키예에 설립했다.
포스코·KCC·HL그룹은 각각 2개의 튀르키예 법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외 ▲롯데 ▲농협 ▲LS ▲DL ▲효성 ▲셀트리온 ▲넷마블 ▲KT&G ▲한국타이어 ▲한국지엠 그룹도 각 1개의 해외계열사를 튀르키예에 세운 것으로 파악됐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국내 기업 튀르키예 법인 상당수는 강진이 발생한 곳과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어 직접적인 1차 피해는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향후 물류 및 판매 등에 일정 부분 차질이 예상돼 시시각각으로 변화는 상황에 예의 주시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