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12일 오전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참사 분향소'를 찾은 시민이 눈물을 흘리고 있다. 서울시는 유가족 측에 이날 오후 1시까지 현재의 분향소를 대체할 제3의 공간을 제안해달라고 요청했다. 유가족 측은 서울시의 제안을 거부하고 소통 역시 차단하겠다는 입장이다./사진=뉴스1
양측의 간극이 좁혀지지 않을 경우 오는 15일로 유예된 서울광장 분향소 철거를 두고 양측의 충돌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12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유가족 측은 서울광장 분향소를 유지하겠다며 이를 대체할 제3의 공간을 제시하지 않았다.
시는 이날까지 이태원 참사 추모공간으로 제시한 녹사평역에 대한 수용 여부와 유가족 측이 생각하는 대안을 제안해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아울러 서울광장 분향소 설치는 불법인 만큼 오는 15일 오후 1시까지 자진 철거해달라고 요청했다.
앞서 시는 행정대집행을 지난 8일에서 오는 15일 오후 1시로 미룬 바 있다.
유가족 측은 서울 광화문광장 또는 서울광장 분향소가 아니면 수용하지 않겠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시는 불법 시설물에 대해 원칙대로 행정대집행에 나서겠다는 입장이어서 양측의 의견 차이는 좁혀지지 않고 있다.
지난 6일부터 분향소 앞에서 추모문화제를 열고 있는 유가족 측은 행정대집행이 예정된 15일 서울시를 규탄하는 기자회견도 계획 중이다.
이러한 가운데 서울시의회는 양측의 갈등이 장기화할 경우 중재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김현기 서울시의장은 지난 10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생때같은 자식을 잃은 부모님들의 마음을 헤아리면 우리는 한 발 물러서서 설득과 대화로 해결해야 하지 않겠나는 생각을 갖는다"고 말했다.
이어 "충돌하면 시의회에서 대책위원회라도 구성해 중재할 수 있다"며 "새월호 기억공간이 서울시의회 앞에 있다. 설치 기간이 지난해 6월 말까지인데 현재 존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