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이 2012년 2월 이후 10년 만에 51.2%까지 떨어졌다. /사진=뉴스1
2일 KB부동산 월간시계열에 따르면 2월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51.2%로 지난해 11월(53.9%) 이후 3개월 연속 하락했다. 이는 2012년 2월 수준으로 떨어진 수치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2008~2009년 30%대까지 하락한 뒤 2011년 말 다시 50%선 위로 반등했다. 이후 2016~2017년에 70%대까지 상승했으나 점차 하락해 50%선에 머물고 있다.
서울시내 규제지역으로 남아 있는 4개구는 ▲용산 43.2% ▲강남 42.5% ▲서초 45.9% ▲송파 45.3% 등으로 전세가율이 50%대 밑으로 떨어졌다. 목동이 위치한 양천구는 49.1%로 나타났다. 이어 ▲영등포 50.4% ▲강서 50.9% ▲성동 50.8% 등도 50%선 붕괴를 코앞에 두고 있다.
전세가율이 계속 떨어지는 이유는 최근 매매가격에 비해 전셋값 하락폭이 커졌기 때문이다. KB조사 기준 2022년 한 해 서울 아파트값은 2.96% 하락한 반면 전셋값은 5.45% 내렸다.
수도권과 지방 등 지역별 전세가율 차이도 크게 나타났다. 경기의 경우 평균 전세가율은 62.2%이지만 과천(42.5%) 등 일부 지역은 평균을 크게 밑돌았다. 부산은 평균 62.8% 전세가율을 기록했지만 수영구는 47.3%로 평균치보다 15.5%포인트 낮다.
이어 ▲경북 80.1% ▲충북 78.3% ▲전남 77.6% ▲충남 76.6% ▲경남 76.6% ▲전북 76.5% ▲강원 75.4% ▲울산 74.9% ▲광주 70.9% ▲대구 70.2% ▲대전 68.2% ▲인천 64.3% ▲제주 59.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세종시 전세가율은 45.6%에 머물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