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 대형마트의 가전매장 전경. /사진=뉴스1 허경 기자
10일 업계에 따르면 해상운송 항로의 운임 수준을 나타내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 주 931.08포인트로 전 주 대비 15.60포인트 내렸다. 5100포인트를 넘었던 지난해 1월과 비교하면 5분의 1 수준이다.
SCFI는 올해 첫 주부터 8주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 10일에는 2년 8개월 만에 1000선 아래로 떨어졌고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경우 900선 밑으로 내려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SCFI 하락은 가전업계에 희소식이다. 물품 운송비 부담이 줄어들며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어서다. 2020년 2조원 안팎이었던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운반비는 지난해 3조원 이상으로 크게 치솟으며 수익성 악화의 원인이 된 바 있다.
가전업계의 핵심 원자재인 철광석과 구리 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점도 호재다. 한국자원정보서비스에 따르면 지난 8일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거래된 구리 현물 가격은 톤당 8810달러로 1년 전(톤당 1만171달러)보다 13.4%가량 내렸다.
철광석 가격은 이달 3일 기준 톤당 125달러다. 지난해 11월을 기점으로 상승세를 타고 있지만 1년 전 가격(톤당 145.14달러)에 비해선 13.9% 낮은 가격이다.
원자재 가격과 물류비가 내리면서 가전업계는 안도의 한숨을 쉬고 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물론 중견·중소 가전업계가 지난해 글로벌 수요가 둔화된 상황에서 원자재와 물류비용까지 증가하면서 수익성이 크게 꺾인 바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해 우너자애와 물류비 안정세에 따라 실적 회복이 예상보다 빠르게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실제 백선필 LG전자 HE상품기획담당 상무는 지난해 2분기부터 3분기 연속 적자를 낸 HE사업본부(TV사업)의 흑자전환 시점에 대해 "물류비나 환율이 작년보다 나아져 사업환경이 좋아졌기 때문에 빠른시간 내 달성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손익이 분기별 플러스로 돌아서는 시점은 올해 상반기에 올 것 같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