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세데스-벤츠가 전용 운영체제 'MB.OS' 를 2025년쯤 선보일 예정이다 /사진제공=메르세데스-벤츠
메르세데스-벤츠가 미래 모빌리티에 한걸음 더 다가선다. 새로운 설계 및 제조방식은 물론 차를 움직이는 소프트웨어 개발에도 힘을 쏟는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지난 2월 새로운 'MMA 플랫폼'과 함께 2025년쯤 선보일 전용 운영체제 'MB.OS'에 대한 구체화된 계획을 발표했다.

MB.OS는 전체적인 고객 관계를 관리하고, 데이터 프라이버시(data privacy)를 보장하며, 모든 차 기능을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자체적으로 설계 및 개발됐다. MB.OS는 특별 제작된 칩-투-클라우드(chip-to-cloud)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인포테인먼트, 자율주행, 차체 및 편의성(body & comfort), 주행 및 충전 등 차의 모든 영역에 대한 완전한 접근성을 추구한다. 회사는 이 같은 전략적 접근 방식을 통해 고객에게 차별화되고 우수한 제품 경험을 제공하는 게 목표다.


MB.OS는 개발, 생산, 옴니채널 커머스, 서비스 등을 비롯한 기업 밸류 체인의 주요 요소들을 연결하도록 설계됐으며, 메르세데스-벤츠의 전체 사업을 위한 운영체제(OS)가 됐다. 이로 인해MB.OS는 개발 주기의 단축부터 최초 자동차 구매 이후 고객 생애 가치의 제고까지 넓은 범위에 효과를 발휘한다는 게 회사의 설명.

파트너사는 엔비디아(NVIDIA)와 텐센트(Tencent), 루미나(Luminar), 구글(Google) 등이 대표적이다. 엔비디아는 MB.OS를 위해 자체 소프트웨어와 데이터, AI 전문지식뿐만 아니라, SAE 레벨 2와 3의 자율주행 시스템을 향상시키는 오린(Orin) 시스템 온 칩(system-on-chip)을 제공한다. 여러 차종에는 루미나의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dar) 센서 등을 비롯한 차세대 센서도 탑재된다.

메르세데스-벤츠는 궁극적으로 최대 130 km/h로 주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레벨3 조건부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최근에는 차세대 인카(in-car) 내비게이션 경험을 개발하고 구현하기 위해 구글과 장기적인 전략적 협업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올라 칼레니우스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CEO /사진제공=메르세데스-벤츠
올라 칼레니우스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CEO는 "MB.OS는 완벽히 업그레이드 가능하며 지속적으로 개선 가능한 점이 특징"이라고 강조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개발에 대한 전략이 추가 수익을 창출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라고 본다. 이미 2022년부터 내비게이션, 실시간 교통상황, 온라인 지도 업데이트와 같은 제품 서비스 부문에서 10억유로(약 1조 3800억원)가 넘는 수익을 창출해내고 있다는 게 회사의 설명.


앞으로 메르세데스-벤츠는 MB.커넥트 및 MB.드라이브에서 발생되는 소프트웨어 관련 매출이 2025년까지 10억유로 초중반대, 2030년까지 10억유로 후반대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메르세데스-벤츠는 디지털 서비스에서 10억 유로의 EBIT(이자 및 세전 이익) 창출이라는 자체 목표를 넘어서기 위한 궤도에 올라 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소프트웨어는 회사의 제품 개발 프로세스 및 투자 계획에 있어 매우 중요하며 2025년까지 R&D 예산의 25%가 소프트웨어 개발에 할당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라 칼레니우스 CEO는 "메르세데스-벤츠는 모두가 가장 선망하는 차종을 만드는 데 전념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우리 차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에 완벽하게 접근 가능한 특별한 칩-투-클라우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우리의 전용 운영체제를 설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세계 최고 수준의 파트너들과 메르세데스-벤츠가 가진 전문성을 결합해 주행 보조 시스템, 내비게이션, 엔터테인먼트에서부터 통합된 충전에 이르기까지 탁월한 고객 경험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