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사진은 지난해 11월13일(현지시각) 캄보디아 프놈펜의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악수하는 윤 대통령. /사진=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대한민국과 미국은 공동의 민주적 가치와 인권 존중을 기반으로 깊은 유대를 공유하고 있다"는 내용이 담긴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두 정상은 29일 화상으로 개최되는 제2차 민주주의 정상회의 본회의에 앞서 '한·미 공동성명'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양국 정상은 공동성명에서 "견고한 정치·경제·안보와 인적 관계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나아가 "제2차 민주주의 정상회의 공동 개최를 통해 민주주의 국가의 연계를 구축해 나가길 기대한다"며 "대한민국이 앞으로 제3차 정상회의를 주최할 것"이라고 명시했다.


특히 "대한민국의 민주적 제도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강력한 등불"이라며 "민주주의가 지속적인 안보와 번영을 가꾸는 데 필요한 환경을 조성한다는 것을 세계에 보여주고 있다"고 평했다.

이들은 "최근 대한민국은 글로벌 리더로 부상했다"며 "대한민국 국민이 정부의 투명성을 높이고 효과적인 견제와 균형을 보장하며 공공의 필요에 부응하는 법률을 발전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 결과"라고 전했다.

두 정상은 "국민의 동의에 기반한 투명하고 책임 있는 거버넌스를 강화하는 것은 우리 시대의 근본적인 과제"라며 "세계의 가장 중대한 도전들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강력하고 회복력 있는 민주국가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공동 안보·번영 수호 ▲기후위기 대응 ▲글로벌 보건·펜데믹 대비 증진 ▲신기술 기여 등을 강조했다.


아울러 "우리는 두 차례에 걸친 민주주의 정상회의에서 마련된 동력이 미래로 이어지고 이러한 노력이 글로벌 리더십을 드러낼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국민과 세계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민주주의 진영이 직면한 위기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 2021년 12월 미국 주도로 1차 회의가 열렸다. 제2차 회의는 이날부터 오는 30일까지 이틀 동안 열리며 공동 개최국으로 한국·네덜란드·잠비아·코스타리카 등이 포함됐다. 중국과 러시아를 비롯한 권위주의 국가의 부상을 견제하고 민주주의 연대를 강화하는 것이 회의의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