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 체납액이 가장 많이 쌓여 있는 지역은 서울 강남세무서이며 지난해 세금을 가장 많이 걷은 세무서는 서울 남대문세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사진=뉴스1
31일 국세청이 발표한 지난해 국세통계에 따르면 남대문세무서에서만 20조1302억원의 세금을 걷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021년 부산 수영세무서가 가장 많았는데 지난해에는 남대문세무서의 세수가 1위였다.
이어 ▲영등포세무서(서울, 15조858억원) ▲수영세무서(14조9212억원) ▲삼성세무서(서울, 12조4050억원) ▲서초세무서(서울, 10조241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남대문세무서는 법인세(2022년 기준 12조1000억원, 60.1%)의 비중이 높다.
가장 세금이 적게 걷힌 곳은 경북 영덕세무서로 1195억원이다. 이어 ▲남원세무서(전북, 1702억원) ▲거창세무서(경남, 1715억원) ▲영동세무서(충북, 1944억원) ▲상주세무서(경북, 2002억원) 등이다.
지난해 12월31일 기준 국세 누계 체납액('정리중 체납액'과 '정리보류 체납액'의 합계로 국세징수권 소멸시효가 완성되지 않은 체납액)은 102조5000억원으로 2021년 99조9000억원 대비 2.6% 증가한 2조6000억원이었다.
이 중 징수 가능성이 높은 '정리중 체납액'은 15조6000억원(15.2%)이다. 징수 가능성이 낮은 '정리보류 체납액'은 86조9000억원(84.8%)으로 전산관리로 전환해 사후 관리하고 있다.
전국 133개 세무서의 누계 체납액 현황을 보면 강남세무서가 2조330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용인세무서(경기, 2조2806억원) ▲삼성세무서(2조2565억원) ▲서초세무서(2조2386억원) ▲역삼세무서(서울, 2조2286억원) 순이다.
이른바 '부자 동네'로 알려진 강남, 삼성, 서초, 역삼세무서가 누계 체납액 상위 5곳에 포함되는 불명예를 안았다.
영덕세무서는 누계 체납액이 534억원으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체납액 하위 세무서는 ▲영월세무서(강원, 892억원) ▲홍천세무서(강원, 929억원) ▲남원세무서(931억원) ▲영주세무서(경북, 939억원) 등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