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1 DB

(서울=뉴스1) 이창규 기자 = 중국과 일본 정부가 1일 외교장관회담을 개최한다. 최근 한일정상회담을 통해 그동안 악화됐던 양국 관계 개선의 출발점이 마련됐단 평가가 나오는 상황에서 그 동력이 한중일 정상회의로까지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일본 외무상은 1~2일 이틀간 중국을 방문, 친강(秦剛) 중국 외교부장을 만난다. 일본 외무상의 중국 방문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전인 영향 지난 2019년 12월 이후 3년여 만이다.


중일외교장관은 이번 회담에서 양국 간 주요 현안과 더불어 역내외 정세 등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지난 16일 한일정상회담에서 거론됐던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 문제도 의제가 포함될지도 주목된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는 당시 한일정상회담 뒤 가진 공동 회견에서 "한중일 고위급 프로세스를 조기에 재가동하는 게 중요하다는 데 대해 (의견이) 일치했다"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달 2일 재외공관장 초청 만찬에서도 "한국·일본·중국의 3자 정상회의를 다시 가동해 역내 평화·발전을 위해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중일 정상회의는 2008년 12월 이후 지금까지 총 8차례 개최됐다. 그러나 코로나19와 한일관계 악화 등의 영향으로 2019년 12월 중국 청두(成都) 회의를 마지막으로 3년여 동안 열리지 않고 있다.

중국 당국도 지난 20일 왕원빈(王文斌) 외교부 대변인의 정례브리핑을 통해 "중국은 한중일 3국 협력에 일관적으로 적극 참여해왔다"며 연내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에 대한 "지지" 의사를 밝혔다.

한중일 정상회의는 '일본-중국-한국' 순으로 돌아가면서 의장을 맡아왔다. 따라서 연내 회의가 열릴 경우 우리나라가 의장국을 맡는다.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2023년도 재외공관장 초청 만찬에서 만찬사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3.3.27/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그러나 중국 당국이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를 지지한단 입장을 밝힌 건 '외교적 수사'일 뿐 "속내는 다를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우리 정부는 작년 5월 윤석열 대통령 취임 이후 '한미동맹 강화·발전'을 외교 분야 최우선 목표로 삼아 미국과의 접촉면을 확대하는 데 주력해왔다.

이런 가운데 미중 양국 간의 전방위 패권 경쟁마저 심화하면서 한중관계는 "상대적으로 소원해진 경향이 있다"는 게 정부 안팎의 일반적인 평가다.

중국 내부 사정에 밝은 한 소식통은 "지금 중국은 한국엔 큰 관심이 없다"며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3기 체제 공식 출범 후 중국은 유럽 등 서방국가들을 공략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최근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가 중국을 방문해 시 주석을 만난 데 이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과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등도 내달 잇따라 중국을 방문할 계획이다.

시 주석은 최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선 사실상 '반미 연대'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로부턴 중국이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간 갈등 중재 등을 통해 대외 정세에 적극 개입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단 점에서 "추후 한중일 정상회의에도 실제로 관심을 보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황재호 한국외대 국제학부 교수는 "중국은 최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 화해도 주선하겠다고 하는 등 대외적으로 광폭 행보를 보이고 있다"며 "차이잉원(蔡英文) 대만 총통이 미국을 방문하긴 했지만, 마잉주(馬英九) 전 대만 총통은 중국을 찾는 등 상대적으로 중국에 우호적인 외교환경이 조성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황 교수는 "이런 흐름이 계속될 경우 중국이 한중일 정상회의를 거부할 이유가 전혀 없다"며 "한중일 정상회의엔 중국 국가주석이 아닌 총리가 참석하는 정치적 부담도 덜 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