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류 가격의 인상으로 부담을 느낀 20대 사이에서 음주 문화가 변화하는 모양새다. 사진은 주류 가격이 7000~9000원으로 기재된 식당의 메뉴판(왼쪽)과 2000~3000원으로 판매되는 마트 진열대에 놓인 주류. /사진=서진주 기자
평일에 들른 서울 마포구의 한 주점. 이 주점의 소주 가격은 1병당 7000원이다. 비싼 소줏값 탓인지 주점에는 빈자리가 더 많았다. 자리를 차지하고 앉은 이들 중에서도 술이 아닌 음료를 마시는 대학생 무리가 눈에 띄었다. 홍익대 재학생 신모씨(여·23)는 "여기서 저녁을 먹은 뒤 친구들과 편의점에서 술을 마시려고 한다"며 "왜 똑같은 술을 식당에서 비싼 돈 주고 마셔야 하냐"라고 반문했다.
서울에 위치한 식당·술집의 소주 가격은 1병당 5000~8000원, 맥주 1병 가격 역시 6000~9000원이다. 물가가 상승하면서 술값도 함께 올랐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주류 가격 인상으로 '서민술'이라고 불리는 소주가 6000원 시대에 접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주류 가격의 인상 폭이 커지자 20대 사이에서는 "최저시급을 제외한 모든 게 올랐다"며 불만을 내비쳤다. 치솟는 주류 가격에 음주를 즐길 곳이 점차 줄어든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이들은 술집을 대체할 새로운 장소를 찾았다. 20대 사이에서 트렌드로 자리잡은 음주 장소는 어디일까.
━
"요즘 누가 술집에서 마시나요"… 서민술 즐기러 '이곳' 간다━
MZ세대들이 알뜰하게 주류를 즐기기 위해 술집이 아닌 색다른 장소로 발걸음을 옮겼다. 사진은 편의점에서 주류를 구매한 뒤 즐기는 모습. /사진=서진주 기자
인스타그램에 '파티룸'을 검색하면 파티룸에서 술을 마시는 게시물을 다수 볼 수 있다. 파티룸은 4시간·6시간·8시간·1박 등으로 예약할 수 있으며 방마다 인테리어와 옵션 등이 다르다. 파티룸에서 친구들과 술파티를 즐긴 적 있다는 홍모씨(여·26)는 "우리만의 공간이라는 점이 가장 큰 매력 포인트"라며 "원하는 술을 종류별로 사갈 수 있어 술마카세(술+오마카세)에 온 듯한 느낌"이라고 밝혔다.
유명한 파티룸은 예약 경쟁률이 높고 가장 빠르게 예약할 수 있는 날짜가 약 1개월 뒤일 정도로 인기가 폭발적이다. 따라서 바로 술을 마시고 싶은 경우 편의점이나 인근에 위치한 벤치 등에서 소소한 음주를 즐긴다. 특히 편의점이나 마트에서는 소주 4병·맥주 4캔을 각 1만원대에 판매해 더욱 인기다.
일반 술집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주류를 판매하는 편의점·마트가 인기를 끌고 있다. 사진은 편의점·마트에서 소주 4병·맥주 4캔을 각 1만원대에 판매하는 모습. /사진=서진주 기자
이씨와 함께 술을 마시던 최모현씨(남·25) 역시 "(편의점에서는) 4병을 다양하게 고를 수 있어 좋다"며 "요즘 식당이나 술집은 안주도 비싸기 때문에 대학생이 마음 편하게 즐길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친구들을 보면 가격이 특별히 저렴하거나 특색있는 마케팅으로 차별화된 술집이 아니면 굳이 방문하지 않는 추세"라고 덧붙였다.
━
와인·칵테일이 대세?… "비싼 술로 확실히 즐기자"━
술집에서 판매하는 소주·맥주 가격이 치솟자 와인·칵테일 등 고가 주류가 뜻밖의 인기를 얻고 있다. 사진은 소주·맥주 대신 와인·칵테일을 즐기는 모습. /사진=서진주 기자
서울 성동구에 위치한 와인바 앞에는 약 10팀이 대기하고 있었다. 30여분을 대기했다는 이라온씨(여·24)는 "친구들끼리 와인 1병을 주문하는 것이 일반 술집에서 술을 마시는 것보다 훨씬 저렴하다"고 전했다. 그는 "돈 내고 제대로 된 서비스를 받으려면 와인바가 더 좋은 듯하다"며 "일반 술집에 가면 안주랑 술만 툭 던져주고 가는 등 불친절해 기분이 상하는 경우가 있다"고 지적했다.
와인바뿐만 아니라 칵테일바 입구도 문전성시다. 기념일을 맞아 칵테일바를 방문했다는 20대 커플은 "일반 술집은 주류 가격이 상승한 것도 문제지만 주변이 너무 시끄러워 대화를 나눌 수 없다"며 "값 비싼 소주를 시끄러운 곳에서 마시는 것보다 분위기 있는 곳에서 칵테일을 즐기는 게 이득"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들은 소주·맥주에는 없는 칵테일만의 장점으로 달달함을 꼽았다. 그러면서 "칵테일 1잔에 1만원대를 웃도는데 달콤함과 알코올을 동시에 즐길 수 있다"며 "일반 식당에서 똑같은 맛의 소주를 여러 병 마시는 것보다 다양한 맛의 칵테일을 맛보는 게 흥미롭다"고 설명했다.
해당 칵테일바 바텐더 류모씨(남·31)는 최근 젊은 세대의 방문이 급격히 늘었다고 밝혔다. 류씨는 "칵테일마다 도수가 다르기 때문에 술찌(술을 잘 마시지 못하는 사람)도 쉽게 마실 수 있는 칵테일이 있다"며 "일반 식당에서 비싼 돈을 주고 술을 마시기 아까워하는 술찌들도 칵테일을 즐기는 경우가 많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