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채무자이면서 저신용·저소득인 30대 이하 청년층이 지난해에만 4만명 이상 늘었다./사진=이미지투데이
1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더불어민주당·서울강동구 갑)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30대 이하 청년층 취약 차주는 46만명으로 전체 취약차주(126만명)의 36.5%에 해당했다.
한은은 취약 차주를 3곳 이상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신용(7∼10등급) 또는 저소득(하위 30%)인 대출자로 본다.
취약 차주들은 고금리 시대에 대출 상환능력이 낮은 대출자로 분류된다.
지난해 말 전체 취약 차주 수는 126만명으로 1년 새 6만명 증가했는데 이 중 30대 이하 청년층에서만 4만명 늘었다.
지난해 말 전체 가계 취약 차주 대출 잔액은 93조9000억원으로, 1년 전(92조8000억원)과 비교해 1.2%(1조1000억원) 증가했다.
특히 가계대출 연체율도 전 연령대에서 다시 오르고 있다. 연체율은 30일 이상 연체 전액 합계를 30일 이상 대출 잔액 합계로 나눈 값이다.
지난해 말 기준 가계대출 연체율은 30대 이하 0.5%, 40·50대 0.6%, 60대 이상 0.7%로 1년 전보다 각각 0.1%포인트씩 상승했다.
문제는 3곳 이상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의 연체가 급증했다는 점이다. 지난해 말 기준 다중채무자의 연체율은 1.1%로 전년 대비 0.2%포인트 올랐다. 다중채무자의 연체액은 6조4000억원으로 1년 전(5조1000억원) 대비 25.5%(1조3000억원) 증가했다.
진선미 의원은 "고금리 추세에서 취약 차주의 대출과 연체가 늘면서 청년층과 노년층을 중심으로 이자 부담이 크게 높아질 우려가 큰 상황"이라며 "고금리의 물가안정 순기능은 체감되지 않고 공공요금 인상, 외식비용 등의 생계 부담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제시한 국민의 이자 부담을 낮추는 민생금융 위기 대응책 시행에 즉각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