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투데이
최근 환율 변동성이 커지면서 원화의 달러 대비 절하율이 다른 통화보다 2배 이상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19일 '금융·경제 이슈 분석'을 통해 "올해 2월 중 원화 환율 변화율이 다른 통화 평균치를 두 배 이상 상회하면서 표본국가 34개국 중 가장 높은 변화율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올 2월 원화는 달러 대비 7.4% 절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34개국 평균치인 3.0% 절하의 2배를 넘는 수준이다.


같은 기간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2.7% 절하됐다.

한은은 원화의 환율 변화율이 유로존 재정위기, 미·중 무역분쟁과 같은 글로벌 이벤트 기간 중 대부분 국가의 환율 변화율을 밑돌았지만 최근 들어 원화의 변동성이 두드러졌다고 설명했다.

한은이 내외금리차 등을 토대로 실증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원화 변동성 확대는 미국의 통화 긴축 불확실성과 더불어 무역수지 적자 등 국내 요인도 기여한 것으로 추정됐다.


최근 무역수지가 악화한 태국, 남아프리카공화국, 아르헨티나 등도 2월 중 상대적으로 큰 폭의 통화가치 절하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시작 이후 한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의 환율 변동성이 확대됐다.

한은이 2010년 1월부터 올 2월까지 선진국 및 주요 신흥국(31개국)을 대상으로 환율 변동성을 비교한 결과 환율 변동성은 미 연준이 금리 인상을 시작한 지난해 3월 이후 대체로 장기평균(0.5%포인트)을 지속해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분포를 보면 한국의 환율 변동성은 선진국과 남미 신흥 국가들 보다낮지만 동아시아 국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한은은 "동시아 국가에 비해 금융개방도와 환율제도 유연성이 높고 선진국보다는 금융개방도가 낮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