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 한국사업장이 생산 하도급 문제 해결을 위해 정규직 채용 등에 나선다. 사진은 GM 한국사업장 창원공장 전경. /사진=GM 한국사업장
로베르토 렘펠 한국지엠 사장은 "회사는 생산하도급 근로자에 관한 현안 해결이 지속 가능한 한국사업에 중대한 과제라는 점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생산하도급 관련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이미 지난 2021년 말부터 시작됐다"며 "현재 이해관계에 있는 노동계와 협의를 전제로 생산하도급 근로자 채용을 위해 보다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 중"이라고 덧붙였다.
렘펠 사장은 하도급 근로자의 채용 규모나 시기 등에 대해서도 입을 열었다. 그는 "채용 시기나 규모는 회사의 중장기 인력 수급 계획과 연동해 추진 예정"이라며 "이와 관련해 노동계와의 즉각적인 협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GM 한국사업장은 내수 및 수출 시장에서의 긍정적 흐름을 바탕으로 창원 및 부평 공장 생산량을 지난해 26만대 수준에서 올해부터 50만대 수준으로 두 배 가까이 늘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앞으로 변동 예정된 생산직 인력의 비중을 고려할 때 비즈니스 수요에 맞는 생산 인력 충원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노동계와 충분한 협의가 진행될 경우 하도급 현안을 근본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앞서 GM 한국사업장은 지난해 5월과 올해 3월에 각각 260명과 65명 등 총 325명 규모의 생산하도급 근로자를 정규직으로 직접 발탁해 채용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