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로이터
중국 정보기술(IT) 기업 바이트댄스의 '틱톡'을 금지하는 법안이 미국에서 처음으로 통과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로이터통신 등 외신은 최근 그레그 지안포르테 미국 몬태나주지사가 틱톡 사업을 금지하는 내용의 법안에 서명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내년 1월1일부터 몬태나주 내 틱톡 사업자에겐 벌금이 부과될 예정이다. 지안포르테 지사는 "중국 공산당의 감시로부터 몬태나인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틱톡은 숏폼(10~15초 정도의 짧은 동영상)을 공유하는 플랫폼이다. 먹방·스포츠·웹툰·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를 중심으로 전세계 10~20대 사이에서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미국내 월 활성 이용자 수(MAU)는 1억50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이 틱톡 차단에 나선 이유는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중국 업체를 거쳐 중국 공산당으로 흘러들어갈 것을 우려해서다. 최근 바이트댄스 미국 사업부에서 엔지니어링 책임자로 일했던 위인 타오가 "중국 정부는 틱톡의 모든 데이터에 최고 수준으로 접근할 수 있다"고 폭로해 논란을 빚은 바 있다.

틱톡은 몬태나주의 조치에 대해 성명을 내고 "미국 수정헌법 제1조에 보장된 표현의 자유를 침해당했다"며 "몬태나주 이용자의 권리를 보호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뿐 아니라 전세계 여러 국가에서도 정보 유출 우려로 인해 틱톡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지난 2월 캐나다 연방정부는 정부에 등록된 모든 기기에서 틱톡 다운로드를 차단하고 기존에 설치된 앱은 삭제하겠다고 밝혔다. 일본도 정부 직원 단말기에 틱톡 이용을 금지하고 있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도 집행위에 등록된 개인 및 업무용 휴대용 기기에서 틱톡 사용을 금했다.


틱톡은 한국에서도 2020년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개인정보보호 법규 위반으로 1억8000만원의 과징금과 600만원의 과태료 처분을 받은 바 있다. 국내 틱톡 사용자도 빠르게 증가한 만큼 국내서도 사용 제한이 논의될 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