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보건시민센터 회원들이 19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G7 정상회의 국가·초청국의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태평양 해양투기 반대의사 표명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규탄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뉴스1
20일 정부에 따르면 후쿠시마 제1원전의 오염수관리 현황점검을 위해 우리 전문가 시찰단을 오는 21일부터 26일까지 나흘간 일정으로 파견한다.
첫날인 오는 22일에는 일본 관계기관과 기술 회의 및 질의응답을 한 후 23일부터 24일까지 양일간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관리 실태 등을 확인한다. 25일에는 현장점검 내용을 바탕으로 일본 관계기관과 심층 기술 회의와 질의응답으로 일정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시찰단장은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이다. 시찰단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원전 시설 및 방사선 분야 전문가 19명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의 해양환경 방사능 전문가 1명 등 총 21명으로 구성했다.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방류를 정당화하려는 일본 정부의 들러리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비판 수위를 높이고 있다. 특히 시찰단 구성과 관련해 일본 정부의 승인이 필요한 만큼 중립적 구성이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 대표는 전날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지금처럼 일본 눈치만 살피며 검증 시늉만 하다가 우리 또한 오염수 테러, 방사능 테러에 공범이라는 지적받지 않을까 걱정된다"며 "전에도 말했지만 식수로 말해도 안전할 것 같으면 왜 바다에 갖다 버리나. 식수로 쓰든지 공업용수, 농업용수로 재활용하면 되는 일 아니겠나"고 지적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