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투데이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이 길어지고 있다. 통상 독감은 봄이 되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으나 올해는 전년 대비 독감 환자가 4배 이상 급증했다.
20일 질병관리청의 감염병 표본감시 주간 소식지에 따르면 올해 19주차(5월 7~13일) 외래환자 1000명당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 수(인플루엔자 의사 환자 분율)은 23.4명으로 집계됐다.

직전주인 18주차 23.7명보다 소폭 줄기는 했지만 이번 절기 유행 기준(4.9명)의 4.8배다. 19주차 의사환자 분율은 4주 전인 15주차 18.5명과 비교하면 26.5% 늘었다.


이번 절기 독감 의사환자 분율은 지난해 마지막주(12월 25~31일) 60.7명까지 치솟은 뒤 하락세를 보여 올해 8주차(2월 19~25일) 11.6명까지 떨어졌지만 이후 다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독감 유행이 계속되는 것은 큰 일교차와 봄철 활동량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눈꼽감기'로 불리는 아데노바이러스 같은 다양한 호흡기 감염병도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아데노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등을 포함한 바이러스성 급성호흡기감염증 입원환자는 지난 4월30일부터 5월6일 일주일간 2069명으로 집계됐다.

리노 바이러스·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 최근 확산하는 호흡기 바이러스는 기침, 콧물, 인후통, 두통 등을 유발한다. 흔히 감기로 부르는 상기도 감염에 그치지만 드물게 폐렴 등으로 이어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보다 기관지 고통이 길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한편 지난 11일 윤석열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코로나19 위기 경보를 '심각'에서 '경계'로 조정한다고 밝혔다. 2020년 1월 20일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지 1207일 만으로 사실상 코로나19의 엔데믹 선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