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창현(왼쪽) 현대차 SDV본부장(사장)과 오재학 한국교통연구원 원장이 수요응답 교통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현대차
현대자동차가 수요응답형 기반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한국교통연구원과 손잡았다.
19일 현대차에 따르면 전날 경기도 성남 판교테크원 타워에서 송창현 SDV본부 사장, 오재학 한국교통연구원 원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수요응답 교통 정책 연구를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MOU는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플랫폼 '셔클'을 운영하는 현대차와 교통 데이터 및 관련 연구 역량을 보유한 한국교통연구원이 협업 체계를 구축해 수요응답 교통을 활성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수요응답 교통 확산을 위한 정책 및 모델 연구 ▲수요응답 교통 지역 확산을 위한 데이터 공유 ▲연구 결과 전파를 위한 공동 세미나 개최 등에 협력할 예정이다.

현대차는 대중교통 환승이 가능한 수요응답형 교통(DRT) 서비스 '셔클' 운영 경험과 데이터를 제공한다. 한국교통연구원은 보유한 교통 데이터 연구 기술을 기반으로 효과적인 수요응답형 교통 모델과 정책을 수립한다.

이 과정에서 지역 교통 문제를 해소하는 최적의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역여건에 맞는 수요응답형 서비스가 확산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송 사장은 "전통적인 대중교통 체계의 변화를 가져올 정책 연구를 추진한다는 점에서 이번 협력에 의미가 크다"며 "현대차의 DRT 운영 경험과 한국교통연구원의 연구 역량이 만나 미래 모빌리티 혁신을 앞당기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앞으로도 다양한 지방자치단체들과 협의를 통해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셔클을 도심항공모빌리티(UAM)와 같은 미래 이동 수단까지 포함해 대중교통 및 광역 교통과 연계되는 서비스형이동수단(MaaS)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