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벤츠와 BMW를 제외한 나머지 수입차 업체의 판매 부진이 심각하다. 사진은 뉴 푸조 408. /사진=스텔란티스코리아
①"내가 제일 잘나가" 벤츠·BMW 올해도 선두 다툼
②'억'소리 나도 잘나가는 럭셔리카
③"흥행은 남 얘기"… 판매 양극화에 거센 한파
국내 수입 자동차시장의 판매 양극화가 크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와 BMW코리아 두 회사가 60%에 육박하는 점유율로 시장을 양분하고 나머지 업체가 10% 미만의 점유율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올해 수입차시장이 전체적으로 뒷걸음질 친 가운데 벤츠코리아와 BMW코리아, 일부 럭셔리카 브랜드 등을 제외하면 나머지 브랜드의 판매 부진은 심각하다. 일부 브랜드가 구조조정에도 나선 상황에 철수 위기설까지 감돈다.
━
月 100대 판매도 힘든 브랜드 수두룩━
2016년부터 시작된 국내 수입차시장의 선두 다툼은 벤츠코리아와 BMW코리아의 대결이었다. 연초부터 매월 아슬아슬한 대결을 펼치다 막판에는 항상 벤츠코리아가 승리하며 7년 연속 1위 자리를 수성했지만 올해는 BMW코리아의 기세가 어느 해보다 거세다.
올 들어 10월까지 두 회사의 판매량과 시장점유율은 ▲벤츠코리아 6만988대(27.84%) ▲BMW코리아 6만2514대(28.54%)로 합산점유율만 56.4%다.
두 회사의 성적은 지난해보다 떨어졌지만 전체 수입차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압도적인 격차는 유지되고 있다. 다른 업체가 설 자리는 좁아지는 형국이다.
대표적인 브랜드는 스텔란티스코리아의 지프와 푸조다. 지난 10월까지 두 브랜드의 합산 판매량은 전년(7718대)대비 33.7% 준 5119대다.
국내 수입차시장에서 벤츠와 BMW의 점유율이 압도적인 반면 다른 업체는 판매 부진에 시달리고 있다. 사진은 링컨 에비에이터 제트 패키지. /사진=링컨코리아
두 브랜드는 지난 10개월 동안 한 번도 월 판매량 1000대 문턱을 넘기지 못했다. 가장 많이 팔린 기록은 지난 2월 지프의 599대다. 푸조는 6월의 223대가 가장 많이 팔린 기록이고 1~2월에는 월 판매량 100대에도 미치지 못했다.
지프와 푸조가 심각한 판매 부진에 시달리자 스텔란티스코리아는 감원 카드를 꺼내 100여명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에 나섰다.
포드코리아(링컨 포함) 상황도 좋지 않다. 포드코리아는 올해 10개월 동안 전년(6386대)대비 41.6% 떨어진 3729대를 팔았다. 포드 브랜드의 성적은 전년(4206대)대비 34.3% 하락한 2762대, 링컨은 전년(2180대) 성적보다 55.6% 떨어진 967대다.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를 표방하는 폴스타 성적도 아쉽다. 폴스타의 지난 10개월 판매 성적은 1389대로 작년 같은 기간(2444대)보다 43.2% 줄었다.
/디자인=이강준 기자
━
맥 못 추는 글로벌 브랜드, 생존 방법은?━
최근 3년(2020~2022년) 연속 국내 수입차시장에서 1만대 클럽 자리를 지킨 폭스바겐코리아도 올해는 힘에 부친 모습이다. 폭스바겐코리아는 10월까지 7819대를 팔아 전년(1만1170대)대비 판매량이 30% 뒤쳐졌다.폭스바겐코리아의 월별 판매량은 ▲1월 196대(전년대비 -83.8%) ▲2월 517대(-53.3%) ▲3월 452대(-57.1%) ▲4월 675대(-20.3%) ▲5월 862대(-27.1%) ▲6월 538대(-51%) ▲7월 1195대(14.8%↑) ▲8월 1417대(35.9%↑) ▲9월 1114대(-24.2%↑) ▲10월 853대(-23.4%)다.
상반기(1~6월)에 한 번도 월 1000대 판매량을 넘지 못하고 모두 전년대비 뒷걸음질 친 폭스바겐코리아는 7~9월까지 3개월 연속 1000대 판매를 돌파했지만 10월 들어 다시 무너졌다.
올 1~10월 7819대를 팔아 월 평균 782대를 기록한 폭스바겐코리아는 남은 두 달 2200여대 수준을 팔아야 극적으로 4년 연속 1만대 클럽 가입이 가능하다.
올해 국내 수입차시장에서 판매 부진에 시달리는 업체가 수두룩하다. 사진은 폭스바겐 티구안. /사진=폭스바겐코리아
혼다코리아의 월별 판매량은 한 번도 전년대비 성적을 넘지 못했고 가장 많이 판매한 성적이 10월의 233대에 불과했다.
이탈리아 슈퍼카 브랜드 마세라티도 올 1~10월 판매량이 지난해보다 24.3% 준 364대다. 계속된 판매 부진에 지난 5월 국내 영업을 중단하고 재고만 소진 중인 재규어는 올 들어 10월까지 전년(154대)대비 64.9% 하락한 54대의 성적표를 받았다.
국내 수입차 브랜드의 심각한 판매 양극화가 지속되자 뒤숭숭하다. 판매 중단은 물론 국내시장 철수까지 고려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수입차업계 관계자는 "판매 부진이 계속되니 적극적인 마케팅도 쉽지 않고 이 같은 비용 절감은 판매 부진으로 직결돼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며 "풍부한 라인업과 대중적인 인지도를 갖춘 벤츠와 BMW의 경쟁력을 타 브랜드가 따라 잡기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