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쌀쌀하고 도로가 미끄러워지는 겨울에는 여름과 마찬가지로 계절에 맞는 타이어를 장착해야 한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자동차의 주행성능은 물론 모두의 안전을 위한 겨울철 자동차 타이어 관리 꿀팁을 숙지해야 하는 이유다.
━
제 때, 알맞은 교체해야 안전 ━
기온이 영상 7도에 근접하는 11월부터 사계절 혹은 겨울용 타이어 장착을 고려해야한다. 여름용 타이어는 기온이 영상 7도 이하로 낮아지면 트레드(지면과 맞닿는 타이어 표면)가 굳어지며 성능 저하가 시작되기 때문이다.사계절 및 겨울용 타이어는 저온 환경에 특화된 소재로 제작돼 굳지 않고 접지력을 유지할 수 있다.
타이어 옆면에는 사계절, 여름용, 겨울용 등 타이어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M+S' 문구가 있다면 사계절 타이어, 'M+S' 문구가 없다면 '여름용 타이어'다. 'M+S'는 진흙(Mud)과 눈(Snow)을 의미한다.
겨울용 타이어는 'M+S' 문구와 함께 눈길 주행 시에도 안정성을 보장하는 '3PMSF'(3–Peak Mountain Snow Flake) 표식이 있어 이에 맞는 교체를 해야 한다.
타이어 교체 시점 만큼 중요한 것이 올바른 교체다. 간혹 겨울용 타이어 교체 시 비용 절감 등의 이유로 4륜구동인지, 2륜구동인지를 따져 앞바퀴 또는 뒷바퀴 2개만 교체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위험한 행위다.
겨울철 타이어 점검은 안전의 필수 조건이다. /사진=이미지투데이
겨울용 타이어는 네 바퀴 모두 다 교체해야 한다. 타이어의 수명을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마모 정도에 따라 앞바퀴와 뒷바퀴의 위치를 교환해주는 것도 방법이다.
━
추우면 타이어도 축 쳐져━
겨울에는 낮은 기온으로 공기 수축 현상이 발생해 타이어 공기압도 함께 떨어진다. 타이어 공기압이 떨어지면 타이어 접지면이 과도하게 넓어져 트레드 바깥에 불필요한 마모가 생기고 사이드 월이 쳐지며 조향 시 안정성이 떨어져 미끄러짐이나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과열로 고무와 코드가 분리될 수 있고 파열 및 코드절상(순간적인 외부충격으로 타이어 빼대가 끊기는 현상)의 위험성도 있다.
겨울철에는 타이어 공기압을 꼼꼼하게 수시로 확인해야 한다. 최소 월 1회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좋다. 차량의 적정 공기압은 차량 문 안쪽 스티커, 혹은 차량 취급 설명서에 기재된 제조업체의 권장 공기압을 참고하면 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