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하성민 사장(사진제공=SKT)


 

SK텔레콤(이하 SKT)이 헬스케어·B2B 솔루션 등 융합사업 활성화에 3년간 1조2000억원을 투자한다.

SKT는 8일 서울 중구 을지로 소재 SKT 본사에서 기자 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사회와 함께 하는 동행' 실천계획을 발표했다.

 

하성민 사장은 이 자리에서 "사회적 소명의식을 바탕으로 SKT가 앞장 서 행복 동행 성공 사례를 지속적으로 만들고 발전시켜 나가겠다"며 "이를 통해 ICT를 기반으로 한 창조경제 실현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모바일 네트워크 인프라와 R&D 역량을 기반으로 디바이스·네트워크·소프트웨어가 결합된 융합 서비스를 창출하고, ICT 산업과 연계를 추진한다는 게 이번 계획의 핵심이다.


SKT는 이를 위해 ICT와 결합되는 헬스케어 및 솔루션 등 선행형 융합사업에 2015년까지 약 1조2000억원을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영역별로 솔루션에 7500억원, R&D에 3000억원, 기타 신규 융합사업에 1500억원이 투입된다.

SKT가 투자할 융합사업은 지능형 영상과 같은 솔루션 사업에서부터 헬스케어에 이르는 다양한 미래형 사업을 망라한다.

아울러 융합사업에 대한 선제적인 투자를 통해 새로운 사업기회를 발굴하고, 사회적으로도 일자리 창출과 경제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ICT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SKT는 아이디어에서 사업정착에 이르기까지 단계별로 토털 맞춤형 창업을 지원하는 '행복창업' 프로젝트를 운영하기로 했다.

올해 약 300억원 투자로 운영될 이 프로젝트는 ▲체계적인 창업지원을 위한 'T-행복창업지원센터' 설립 ▲45세 이상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창업지원 프로그램 별도 신설 ▲모바일 앱은 물론 하드웨어와 스마트 주변기기로까지 창업 지원 아이템 확대 등을 골자로 한다.

이와 함께 SKT는 창의적 서비스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에 기여하기 위해 자사가 보유한 빅데이터를 개방하기로 했다. 빅데이터를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 장터 개념인 '빅데이터 허브' 구축도 추진한다.

SKT 관계자는 "써드파티(3RD Party) 사업자들이 SKT 빅데이터를 활용해 식당으로 발신된 콜 데이터(Call Data)를 분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새로운 위치기반 광고나 선호도 통계에 기반한 맞춤형 서비스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