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2008년 이후 4년여 만에 대우조선해양 지분 매각에 다시 나선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7일 대우조선해양 주식 3282만5316주(17.15%) 매각 공고를 내고 오는 24일까지 주관사 선정을 위한 제안 요청서를 접수한다고 9일 밝혔다.


금융위는 다음 주 중으로 매각 주관사를 선정해 매각 시기 및 조건 등을 결정하는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지분 매각을 위한 최적 시기와 조건은 연내에 결정할 방침이다.


다만 주관사가 선정된다 해도 주식 매각 절차가 곧바로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금융위는 대우조선해양 지분을 KDB산업은행에 위탁한 후 산업은행이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대우조선해양의 지분과 일괄 판매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일괄 판매 방안이 현실화될 경우 최대 50%에 육박하는 지분이 한꺼번에 매각돼 대우조선해양이 새 주인을 만날 수도 있다.


지분 매각 방식으로는 경쟁 입찰 또는 시간 외 대량매매(블록세일) 등의 여러 가지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금융위는 주관사의 제안 내용 등을 고려한 뒤 결정할 예정이다.


앞서 한국자산관리공사는 그동안 부실채권정리기금을 통해 대우조선해양 주식 3282만5316주 관리해 왔다. 하지만 지난 2월 기금운용 기한이 만료되면서 정부에 반환했다.


한편 조선업계에서는 STX조선해양이 유동성 부족으로 채권단과 자율협약을 맺는 등 조선업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대우조선해양을 매각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이번 지분 매각을 두고 정부가 정권 초기에 공적자금을 최대한 빨리 회수하겠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