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의 가장 큰 힘인 ‘입소문’의 생명은 발 빠름이다. 확산성, 파급력을 말한다. SNS 마케팅의 강점이 바로 ‘일파만파’급의 확산 속도다.
한 마케팅 전문가는 그 효과를 ‘기하급수적’이라고 표현한다. 퍼져 나가는 속도와 그 폭을 예측할 수 없다는 뜻. 최근 많은 사람이SNS 마케팅에 주목하고 있다.
◇ 싸이의 ‘강남스타일’과 외식브랜드 '스타벅스'가 대표 성공 사례
가수 싸이는 동영상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인 소셜미디어 채널 ‘유튜브’에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를 공개하면서 엄청난 마케팅 효과를 맛봤다.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의 SNS를 통해 사용자들이 그 영상을 퍼 나르기 시작했고 이 같은 교류로 전 세계에 확산됐다.
얼마 전 발표한 ‘젠틀맨’이라는 곡 또한 그 여파를 받아 공개 한지 80시간 만에 1억뷰를 돌파하고 전 세계 유튜브 사상 최단 시간 1억 조회 기록을 보유, 빌보드 차트 12위에 진입하는 등 흥행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SNS 마케팅의 성공사례는 외식업에서도 엿볼 수 있다. 대표적인 곳은 '스타벅스'. 경쟁업체의 등장 등 위기가 찾아온 2007년경 스타벅스 인터내셔널은 소수정예의 소셜미디어팀을 만들고 10여개의 SNS 매체를 통해 SNS 마케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그 결과 매출 회복은 물론 커피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그 자리를 탄탄히 지킬 수 있게 된다.
트위터를 통해 프로모션 보다 고객 응대에 초점을 맞췄고 페이스북에서는 양질의 콘텐츠를 노출, 단순히 소식 배포 수단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팬을 통해 한번 더 확산되도록 유도했다.
기업에서 소유하고 있는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자료를 ‘퍼가기’할 수 있도록 새롭게 생산해낸 것이다. 페이스북 페이지는 2008년, 약 20만명의 팬을 확보하고 있는 한 개인에게 인수했다. 팬이 많은 페이지는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현재 '스타벅스'는 페이스북에서 3427만명이 넘는 팬을 확보하고 있다. '스타벅스'를 좋아하고 관심 있는 사람들이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인 하나의 ‘커뮤니티 플랫폼’이 된 것이다. 이처럼 '스타벅스'의 SNS 마케팅 성공에는 해당 매체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적절한 활용이 주효했다.
◇ 소통 기반 홍보 방식, 신뢰성·접근성·확산성 높아
SNS 마케팅은 ‘소셜 미디어 마케팅’이라 부르기도 하며 원리는 간단하다.
에프씨랜드의 강기우 대표는 “소비자는 소비자 의견을 신뢰하는데 먼저 체험한 사람의 경험을 통해 자신의 구매 의사를 결정하는 것이 SNS 마케팅의 근원, 즉 기본원리”라 소개하며 “최근 들어 그 소통이 인터넷에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전한다.
SNS 마케팅은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SNS를 통해 소비자의 주의를 끌기 위한 일련의 과정, 방식 등을 의미한다. ‘입소문’, 게다가 아는 사람이거나 친분이 있는 사람, 즉 SNS 상으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사람들과의 교류가 기반이 돼 효과를 보는 홍보 방식이다.
‘내가 아는, 혹은 나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사람이 제공하는 정보’에서 주는 신뢰성이 다른 홍보 방식에 비해 높다는 것이 핵심. 스마트 폰이 보편화 된 요즘 실시간으로 접할 수 있으며 과정이 간편해 접근성이 좋다. 무엇보다 서로 교감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소비자와의 눈높이를 맞출 수 있으며 맛없다고 말하는 손님을 블랙에서 화이트 컨슈머, 나아가 단골로도 돌릴 수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