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공제회가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이 진행 중인 쌍용건설 7개 관급공사 현장의 공사대금 계좌를 가압류하는 등 법적 절차에 나서면서 쌍용건설이 사면초가에 빠졌다.
현재 쌍용건설 측은 실제 가압류가 진행될 경우 ‘법정관리’라는 최악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쌍용건설 채권단 중 비(非)협약채권자인 군인공제회가 채권 1230여억원을 회수하겠다며 가압류를 진행하자 우리은행과 신한은행 등 쌍용건설 채권단이 난색을 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달 초부터 쌍용건설 채권단은 11월 진행된 회계법인의 실사 결과를 바탕으로 3000억원가량의 추가 자금 지원 방안을 논의하고 있었다. 하지만 군인공제회가 쌍용건설에 대해 가압류하면서 채권단이 추가 자금을 지원하면 3분의1 이상을 군인공제회가 모두 회수해 가 버리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쌍용건설에 대한 추가 자금 지원 논의는 물론 워크아웃 자체가 무산될 위기에 놓이게 됐다.
만약 이번 군인공제회의 가압류 사태로 인해 채권단이 추가 자금에 대한 지원이 중단된다면 쌍용건설에 대한 워크아웃이 중단되고 법정관리에 들어가게 된다.
이럴 경우 가장 큰 문제는 협력업체의 도산이다. 워크아웃 이후 정책당국과 은행을 믿고 같이 일해 온 업체들에 대금지급이 불가능해진다.
현재 쌍용건설의 협력업체는 1400여개이며, 공급줄이 막히는 자금규모만 B2B와 전자어음 등을 합해 3000억원 규모에 달한다.
8개국에서 16개 프로젝트가 진행 중인 쌍용건설 해외현장에 미치는 영향도 상당하다. 이들 현장의 공사규모는 총 3조원에 이른다. 쌍용건설이 실제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진행 중인 해외 공사와 관련한 국제적인 줄소송도 우려된다는 게 업계 관측이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쌍용건설이 이번 군인공제회 사태로 인해 법정관리에 들어가게 된다면 이는 쌍용건설만의 문제로는 끝나지 않을 것”이라며 “가뜩이나 어려운 건설업계는 물론이고 쌍용건설 채권단에 포함된 금융업계 등 산업 전반에 큰 파장이 일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번 군인공제회와 채권단의 협의를 지켜봐야만 하는 쌍용건설 측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답답한 상황에 놓이자 더 속이 타 들어가고 있다.
쌍용건설 관계자는 “별다른 권한이 없는 우리로써는 현재 공제회와 채권단의 결정을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며 “양측이 협의점을 찾아 이번 사태가 원만히 해결될 것으로 믿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