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이 교대 근무 등을 마치고 어제부터 파업에 참여한 철도노조 조합원 1585명을 추가로 직위 해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써 이번 파업과 관련해 직위 해제된 조합원 수는 노조 전임 간부 143명을 포함해 5941명으로 늘어났다.


코레일은 파업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된 교대 근무자에 대해서도 다른 조합원과 마찬가지로 강력히 대응한다는 방침이어서 직위 해제 조합원 수는 앞으로 더 늘어날 전망이다. 파업 중인 철도노조가 10일 오후 7시 서울역광장에서 촛불집회를 예고하며 철도민영화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10일 김명환 전국철도도노동조합 중앙쟁의대책위원장은 "오늘(10일)의 철도공사 이사회는 철도분할 민영화의 신호탄이며 이를 용납할 수 없는 철도노동자들은 국민과 함께 더욱 큰 투쟁의 불길을 지펴 올리고자 한다"며 촛불집회 참여를 강조했다.


이에 따라 노조는 10일 서울역광장에서 922개 단체 원탁회의가 주관하는 철도민영화 저지 범국민 촛불대회를 연다.
▲사진 = 뉴스1 안은나 기자

 

또한 다음날인 11일에는 민주노총 경고연대파업 결의대회에 참가, 민주노총이 주관하는 철도민영화 저지 범국민촛불 대회로 이어갈 예정이다.



아울러 14일 전국의 철도노동자가 상경투쟁을 전개해 철도민영화 저지투쟁을 범국민적 항쟁으로 상승시켜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코레일의 이러한 강력 대응은 4년 전 파업 경험에 근거한 것으로 분석된다. 당시 최장기 파업을 겪은 코레일은 초기 대응이 미흡해 시기를 놓친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코레일 이사회가 어제 수서발 KTX 법인 설립을 의결한 뒤 파업 참여 조합원 345명이 일터로 복귀하면서 노조 전임자를 제외한 출근 대상자 2만500여명 가운데 파업 참가인원은 5700여명(28%), 파업 불참자는 1만4000여명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