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광염' 건강보험 총 진료비 추이(2008~12, 단위 :천원,%)(출처=국민건강보험공단 보도자료)
방광염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그 대부분이 여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방광염’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29일 내놓았다.
이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08~2012년) ‘방광염’으로 진료를 받은 건강보험 전체 진료인원은 연평균 3.1%씩 꾸준히 증가했다.
이에 2012년 기준 진료인원은 152만 3,446명이며, 총진료비는 1,048억원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성환자의 비중이 특히 높아 여성이 143만 1,458명, 남성이 9만 1,988명으로 여성이 전체 진료인원의 94%를 차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비뇨기과 이영훈 교수는 "남성의 요도 길이가 대략 15cm인 것에 배해 여성 요도는 3cm 정도로 매우 짧아 균들이 요도를 따라 방광으로 진입할 기회가 더 많다. 반면 남성은 요도와 방광이 만나는 부위에 전립선이라는 장기가 있어 균이 방광에 진입하기 전에 전립선을 먼저 거쳐 문제가 생길 경우 급성전립선염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연령분포까지 감안하면 특히 40대 이상 여성이 많았는데 이영훈 교수는 “40대 이상의 여성에게는 폐경 이후 호르몬 변화에 의해 방광의 점막구조와 분비 또한 변화를 겪게 되어 균에 대한 방광 점막의 방어력이 감소하게 되며 젊을 때보다 요 배출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는 균 증식에 기여 할 뿐 아니라 증상 또한 더 민감하게 나타나게 하므로 병원을 더 많이 찾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방광염에 걸리게 되면 요검사, 요배양 검사에 근거한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며, 재발 시 배뇨 장애 여부를 확인하고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리고 방광염 예방법으로 “과로, 과음 등 면역력을 떨어뜨리게 되는 생활을 피하고 소변을 너무 오래 참는 경우 균이 방광 내에 오래 머물게 되어 균이 증식할 기회를 높이므로 과도하게 참는 일을 피해야 한다”며 “적당량의 수분 섭취를 통해 소변을 원활히 배출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