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 증상, 고름같은 가래 '
▲만65세 이상의 어르신은 독감백신이 무료.(제공=중랑구, 출처=머니투데이DB)
A형 인플루엔자, 즉 독감이 유행함에 따라 이에 합병증으로 동반될 가능성이 있는 폐렴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이에 '폐렴 증상'이 한 포털사이트의 주요 키워드로 떠올랐다.
폐렴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의 염증을 뜻한다.

이런 폐렴 증상은 폐에 염증이 생겨서 폐의 정상적인 기능에 장애가 생겨 발생하는 폐 증상과 신체 전반에 걸친 전신적인 증상으로 크게 두가지로 구분해 볼수 있다.


폐 증상은 호흡기계 자극에 의한 기침, 염증 물질의 배출에 의한 가래, 숨쉬는 기능의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가래는 끈적하고 고름 같은 모양을 띠는데,피가 묻어 나오기도 한다.

여기서 더 나아가 폐의 염증이 폐를 둘러싸고 있는 흉막까지 염증이 침범한 경우 숨쉴 때 통증을 느낄 수 있고 호흡기 이외에 소화기 증상, 즉 구역, 구토, 설사의 증상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두통, 피로감, 근육통, 관절통 등의 신체 전반에 걸친 전신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전신 질환의 반응에 의해 보통 열이 난다.


그리고 폐의 염증이 광범위하게 발생하여 폐의 1차 기능인 산소 교환에 심각한 장애가 발생하면 호흡부전으로 사망에 이를 수도 있으니 반드시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치료는 세균성 폐렴의 경우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하면 효과적이지만, 최근처럼 독감이 유행할때 합병증으로 찾아온 폐렴의 경우는 시간이 경과하면 항바이러스제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방은 독감백신이나 폐렴구균 백신을 통해 가능한데, 폐렴구균 백신의 경우 폐렴을 완전히 방어하지는 못하지만 심각한 감염증을 줄여주는 효과는 있으니 노약자 등 백신접종의 대상인 경우는 접종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폐렴은 영어로 pneumonia, 제일 앞의 p가 묵음이기에 예시단어로 자주 쓰인다. 여 주인공이 폐렴 증상을 보이는 O.헨리의 단편소설 <마지막 잎새>의 영문 원문이 예문으로 쓰이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