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이 26일 서울 종로구 창신2동 주민센터에서 열린 '도시주거재생 비전 발표 현장 설명회'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 = 뉴스1 민경석 기자)
서울시가 뉴타운 출구전략의 일환인 '도시주거재생'을 위해 4년간 1조원을 투자한다. 이와 함께 도시주거재생을 전담할 '서울형 재생기구'를 신설하기로 했다.서울시는 2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미래 도시주거재생 비전’을 발표했다.
이번 비전은 물리적인 주거지 정비를 넘어 주변 지역의 사회·경제적 상황을 연계한 통합적 개념의 도시주거재생을 추구하겠다는 게 핵심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앞으로 주거지를 관리할 때 마을공동체 활성화, 일자리 창출, 지역 자원을 활용한 정체성 보전 등의 요소를 폭넓게 반영하기로 했다. 그동안 뉴타운·재개발 사업이 지역 특성과 분리된 채 특정 지역의 주거지만을 단순 개발하는 데 그쳤다는 판단에 따른 조치다.
우선 지역에 필요한 생활기반시설 확충에는 생활권 단위 주거환경 진단이 선행된다. 주거환경의 안전성과 편리성, 주거생활 쾌적성, 공동체의 지속성 등을 평가해 기반시설을 확충하겠다는 것이다.
정비구역 지정은 주민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후도와 같은 물리적 요건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요건을 고려하고 주민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기로 했다.
주민이 사업을 추진하기로 하면 지역 여건에 따라 사업성을 고려해 용적률 등을 유연하게 관리해 신속하게 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융자금 지원과 절차 간소화와 같은 행·재정적 지원을 강화한다.
시는 새로운 도시주거재생을 위해 향후 4년 동안 1조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주택사업·도시개발·교통사업 특별회계 및 일반회계와 국고보조금을 통해 확보할 계획이다.
1조원은 도로나 공원 등 기반시설 설치, 공동 이용시설 확충, 성곽마을 등 역사적 가치가 있는 곳의 보전, 지역 일자리 창출 등에 투자된다.
박원순 시장은 “지역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가치를 높이며 물리·사회·경제적 통합재생을 이루는 것이 서울의 도시주거재생 비전”이라며 “통합과 공유의 재생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