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의 미국 현지법인 SKTA(SK Telecom Americas)가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 서니베일(Sunnyvale)에 설립한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센터 '이노파트너스'(sktainnopartners.com) 건물 전경. 11개 이상의 업체가 동시 입주 가능하며, 최근 2개사가 첫 입주를 마쳤다.(사진제공=SKT)
SK텔레콤이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미래 글로벌 ICT 산업을 함께 이끌어 갈 스타트업(Start-up)발굴·육성에 본격 나섰다.
SKT의 미국 현지법인 SKTA(SK Telecom Americas)는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 서니베일에 11개 이상의 업체가 동시 입주 가능한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센터 '이노파트너스'(sktainnopartners.com)를 설립하고, 2개사가 첫 입주를 마쳤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이노파트너스 설립은 SKT의 핵심 사업인 통신 관련 각종 혁신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들을 초기 단계부터 지원해 궁극적으로는 회사의 미래 핵심 성장동력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이는 곧 지난 MWC2014에서 하성민 사장이 언급한 ‘스마트 2.0’ 시대를 선도할 경쟁력 있는 동반자를 키우려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대상 기업은 차세대 초고속 통신망 및 모바일 기술 분야는 물론 IoT(Internet of Things),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굴할 예정이다. 헬스케어, 보안, 반도체를 비롯한 신성장 사업 분야 역시 지원 대상이다.


각 입주사에는 100만 달러 상당의 자본금과 사무실·개발시설이 제공된다. 아울러 실리콘밸리의 에코시스템을 기반으로 기술, 마케팅, 전략 및 투자 관련 전문가들의 컨설팅도 지원한다. 미국 최대규모 벤처캐피탈 Battery Ventures 창업 멤버 켄 롤러(Ken Lawler), Walden International 회장 립부 탄(Lib-Bu Tan) 등이 이노파트너스의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입주사들이 1년 이내 '시장에서 성공할 만한' 수준의 기술, 제품을 가지고 독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노파트너스의 목표다. 또한 특히 우수한 사업의 경우 본사 차원에서 직접 spin-in(스타트업에 투자한 후, 기술이 개발되면 해당 기업을 인수하는 방식) 을 추진, 미래 성장 사업으로 육성할 계획도 세우고 있다.

이를 통해 벤처의 혁신과 대기업의 인프라가 결합한 윈-윈(win-win)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SKTA는 전했다.
 
한편 이노파트너스는 지난해 4월부터 300개 이상의 사업 제안서를 접수했으며 영역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 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4개 프로젝트 지원을 결정했다. 이 중 차세대 통신망에 적용할 초고속 전송기술을 개발 중인 ‘eTopus’와 NAND Storage 업체 ‘Pavilion Data System’ 2개사가 입주를 마쳤고 나머지 회사들도 입주를 준비 중이다.
 
이노파트너스는 올 한해 8개 스타트업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각 스타트업들은 성과에 따라 SKTA의 협력사 및 기타 유관 기업들, 전략 파트너들로부터 더 많은 투자를 받을 수도 있다.

아울러 SKTA는 스탠포드, 미시건, 텍사스 주립대 등 사학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특히 스탠포드 대학과는 차세대 통신망 기술 연구를 함께 추진하고 있어 통신 분야 스타트업에게는 선진 기술 정보를 먼저 접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될 전망이다. SKT는 2018년 평창 올림픽에서 5G 시연을 준비하는 ‘5G 포럼’의 의장사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