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성 비염 주의보'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 월별 진료인원 (2009년~2013년 상반기)(출처=건강보험심사평가원)

대표적인 알레르기 원인물질인 꽃가루가 날리는 봄철인 3,4월에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가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12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최근 5년간(2009~2013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한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J30, Vasomotor and allergic rhinitis)’에 대한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2009년 약 549만명에서 2013년 627만명으로 5년간 약 78만명(14.2%)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변화율은 3.4%로 나타났다.


또 총 진료비는 2009년 1,616억원에서 2013년 1,995억원으로 5년간 약 380억원(23.5%)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변화율은 5.4%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의 진료인원을 월별(1월~6월)로 분석한 결과 ‘알레르기성 비염’환자는 3월에 큰 폭으로 증가하여(최근 5년간 평균 20.4%) 6월에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상반기 진료인원 중 약 40%가 3, 4월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알레르기성 비염’ 진료인원의 성별 점유율은 남성이 약 45.2%~46.2%, 여성은 53.8%~54.8%로 여성이 5년간 평균 약 1.2배정도 높았으며 ‘알레르기성 비염’의 연령별(10세 구간) 점유율은 2013년을 기준으로 10세 미만이 26.4%로 가장 높았고, 30대 14.1%, 10대 14.0%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10세미만 구간에서는 2013년의 전년대비 증가율이 12.0%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집먼지 진드기 및 황사, 꽃가루 등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이물질에 의해 코 점막이 자극을 받아 발생하는 질환으로 지속적인 재채기, 맑은 콧물, 코 막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이 감기와 비슷하여 착각하는 경우가 있으나, 감기와 달리 발열증상이 없고 지속기간이 길다. 이런 증상 외에도 눈의 충혈 및 눈․코 주위 가려움, 후각 감퇴, 두통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합병증으로 중이염, 부비동염, 인후두염, 결막염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알레르기성 비염’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약물요법, 면역요법, 수술요법 등이 있다. 약물요법으로는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등이 널리 쓰이고 있지만 약물에 따른 부작용에 주의해야한다.

또 면역요법은 환자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항원을 약한 강도로 투여하는 방법으로 보통 1년 이상 지속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한편 ‘알레르기성 비염’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회피요법으로 집먼지 진드기 제거(침구류, 카펫 등의 실내 청소) 및 황사, 꽃가루 등이 많이 날리는 기간 외출을 삼가하는 것이며, 그 외에 외출 시 마스크 착용, 외출 후 코 세척 및 가글 등이 있다.